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받는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성적 능력에 끼치는 영향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포경수술이 성적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박남철 교수는 “포경수술이 성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도식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포경수술 찬반 논란은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블랙아웃이 일어나기 전에 쉽게 차단할 수 있다.한국전력연구원 김찬기 연구원은 “현재 교류 전기망은 블랙아웃의 위험 때문에 전력 예비율을 12%로 맞추고 있는데, 직류 송전이 상용화되면 전력 예비율을 10% 이하로 낮춰도 괜찮다”며 “원자력발전소 2~3개가 없어져도 괜찮다는 뜻”이라고 ... ...
-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효율이 최대 3배 좋은 리튬공기전지용 나노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리튬공기전지는 현재 흔히 쓰이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 효율이 최대 2~3배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2차전지다.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충전과 방전을 수천 번 반복할 수 있는 전극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상용화의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자연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다춘삼이와 삼팔이는 지난 4월 8일 고향 제주도로 돌아왔어요. 현재 서귀포시 성산항에 있는 가두리(살아있는 물고기를 가둬두는 큰 그물)에서 야생적응훈련을 받고 있지요. 제돌이는 한 발 늦게 5월 11일 이곳으로 왔어요. 돌고래들은 6월 중순에 김녕으로 이동해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독자기자들은 적잖이 놀라는 눈치였다. 곽시종 교수님의 강연이 끝난 뒤, 독자기자들은 현재 카이스트 수리과학과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만나 궁금한 것들을 묻는 시간을 가졌다.이의진(천안 월봉초 6학년) : 카이스트 수리과학과에 들어오려면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이기휘(수리과학과 2학년) :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지구 공전궤도의 지름을 22분으로 나누어 광속을 구할 수 있었다. 그 속도는 약 21만 4000km. 현재 알려진 빛의 속도는 30만km다.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생각한 피에르 라플라스(1749~1827)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혜성과 달, 토성, 목성, 목성의 위성 등을 수학적으로 연구한 으로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아인스! 수학으로 뭉친 이들은 연극 관람부터 수학 논문 발표까지 못하는 것이 없다. 현재 재학생이 50여 명에 달해 편집팀, 봉사팀, 학술팀으로 나뉘어 다채로운 활동을 즐기고 있다. 아인스의 바쁜 하루를 가 따라가 보았다.분야를 막론하고 진로 탐색은 아인스에서!수학동아리라고 해서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서로 다른 해결책을 내놓고 있기는 하지만, 천문연도 일본 교토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현재까지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것은 이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경쟁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유속도를 분리하고 나면, 분광광시야 관측은 은하와의 거리정보뿐만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방법은 줄기세포 외에 없지만, 그래도 약물을 이용하면 정상적인 생활은 가능하다. 현재 기면증 치료제로 이용하는 ‘모다피닐’은 도파민 세로토닌 히스타민 같은 각성물질이 분비되도록 돕는 약물이다. 매일 약을 챙겨만 먹어도 졸리지 않은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신 원장은 “약물 치료를 받기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비타민 D 가설’입니다.피부색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1999년에야 처음 발견돼 현재까지 10개 이상이 밝혀졌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대륙마다 분포가 다른데다,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나 북쪽으로 퍼지고 나서 한참 뒤에야 처음 나타났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비타민 D 가설이 맞다면 인류가 ... ...
이전3653663673683693703713723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