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가 고효율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효율이 최대 3배 좋은 리튬공기전지용 나노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리튬공기전지는 현재 흔히 쓰이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 효율이 최대 2~3배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2차전지다.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충전과 방전을 수천 번 반복할 수 있는 전극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상용화의 ...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정명고등학교 ‘STAR’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규모로 열리는 로봇경진대회에 참가할 계획이다.손끝으로 로봇 체험하고 싶었던 학생들현재 STAR에는 1학년 7명, 2학년 11명 등 총 18명의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정명고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다. 하지만 로봇을 좋아하고 공학을 손끝으로 체험해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만큼 크지 않아요. 예를 들어 현재까지 발행된 비트코인의 가치를 환산해도(2013년 11월 말 현재 약 9조 3700억 원) 전세계 부자들이 숨겨 놓은 재산(최소 2경 868조 원)보다 훨씬 작거든요.김진화(한국비트코인거래소)3. 그런데 비트코인은 누가 만든 건가요? 만든 사람이 나쁜 마음을 먹으면 순식간에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아인스! 수학으로 뭉친 이들은 연극 관람부터 수학 논문 발표까지 못하는 것이 없다. 현재 재학생이 50여 명에 달해 편집팀, 봉사팀, 학술팀으로 나뉘어 다채로운 활동을 즐기고 있다. 아인스의 바쁜 하루를 가 따라가 보았다.분야를 막론하고 진로 탐색은 아인스에서!수학동아리라고 해서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자연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다춘삼이와 삼팔이는 지난 4월 8일 고향 제주도로 돌아왔어요. 현재 서귀포시 성산항에 있는 가두리(살아있는 물고기를 가둬두는 큰 그물)에서 야생적응훈련을 받고 있지요. 제돌이는 한 발 늦게 5월 11일 이곳으로 왔어요. 돌고래들은 6월 중순에 김녕으로 이동해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지구 공전궤도의 지름을 22분으로 나누어 광속을 구할 수 있었다. 그 속도는 약 21만 4000km. 현재 알려진 빛의 속도는 30만km다.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생각한 피에르 라플라스(1749~1827)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혜성과 달, 토성, 목성, 목성의 위성 등을 수학적으로 연구한 으로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독자기자들은 적잖이 놀라는 눈치였다. 곽시종 교수님의 강연이 끝난 뒤, 독자기자들은 현재 카이스트 수리과학과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만나 궁금한 것들을 묻는 시간을 가졌다.이의진(천안 월봉초 6학년) : 카이스트 수리과학과에 들어오려면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이기휘(수리과학과 2학년) :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종말이라고 부를 수는 없지 않을까. 사실 먼 미래에 우주가 어떻게 종말을 맞이하든, 현재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렇다고 해도 우리가 사는 우주의 시작과 끝을 궁금해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감히 인간이 감당하기조차 어려운 규모의 우주를 끝없이 관측한 결과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장기프로그램도 병행해서 진행할 겁니다. 현재 아마추어 천문학회의 방문이 예정돼 있고, 조만간 전국의 학교 선생님들에게 공문을 발송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투어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과학동아천문대 개관은 우리나라의 천체 관측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세종문화회관 극장은 전체 공간에 비해 좌석 수가 너무 많은, 나쁜 공연장의 대표입니다. 현재는 좌석이 3000석 정도로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1인당 부피가 6~7m3입니다.청중은 가장 예측할 수 없는 변수입니다. 만석일 때와 비었을 때 음을 흡수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청중 수가 달라져도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