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체"(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➋] 국가를 지키는 수호자들을 만나다! 국방과학기술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실제로 사용되는 음향탐지 장비 ‘소나’를 체험해 볼 수 있었지요. 소나는 음파를 쏴서 물체에 부딪힌 뒤 되돌아오는 신호로 바닷속 장애물이나 해저 상황을 탐지하는 장비예요. 매우 어두워서 앞이 잘 보이지 않는 깊은 바닷속 고래나 밤에 활동하는 박쥐도 이렇게 소리를 이용해서 먹이를 찾아요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규칙성을 띠며 깜빡였다. 기존 항공기의 위치 표시등, 드론, 조명탄 등과는 분명 다른 물체다. ※필자소개서종한. 1979년 한국UFO연구회를 시작으로 40여 년간 UFO를 연구 중이며, 2001년부터는 한국UFO조사분석센터를 열고 UFO 촬영, 목격 사례 등을 조사 및 분석하고 있다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포물선을 아름답게! 축구공 골인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운동’은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중력’ 탓에 하늘로 날아오른 물체가 다시 땅으로 떨어지는 운동이에요. 이번 호에서는 마우스 왼쪽 버튼을 오래 눌렀다가 떼면 그 시간만큼 센 힘으로 축구공을 마우스 쪽으로 날려 골인시키는 게임을 만들 거예요. 실전코딩 따라하기각도와 힘을 ... ...
- [인터뷰] 떴다 떴다 종이비행기~♬ 멀리, 오래 날리는 비법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대한 법칙이에요. 공기가 느리게 흐를 때 물체를 누르는 힘이 크고, 빠르게 흐를 때 물체를 누르는 힘이 약하지요. 날아가는 종이비행기는 윗면이 아랫면보다 공기가 빠르게 흘러요. 아랫면에 있는 손으로 잡는 몸통 부분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거든요. 공기가 위쪽은 빠르게, 아래쪽은 느리게 ... ...
- [에디터노트] 카테고리 없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과학잡지(?)에는 괴상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이상한 심령 현상이나 미확인비행물체(UFO) 목격담, 외계인에 의한 납치 사건, 예언자가 본 끔찍한 미래, 이런 내용이 주류였죠. 엄청난 지력을 지녔다는 천재 소년의 이야기도 기억납니다. 그가 보였다는 믿을 수 없는 지력은 하나도 기억나지 않고, ... ...
- CAN UFOS FLY?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확인할 수도 없는 하늘 위 불빛이 존재한다는 주장은 여전히 혼란스럽다.미확인 비행물체, UFO라 불리는 이 불빛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 정체를 파헤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팔을 걷어붙인 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혹여나 지금, 아니면 먼 미래라도 지구의 것으로 그 신비로운 불빛을 만들어 볼 수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놓으면 작용-반작용 법칙에 의해 상자가 앞뒤로 반복해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만약 물체가 앞으로 갈 때 질량(운동량)이 늘어나고, 반대로 뒤로 갈 때는 질량이 줄면 앞으로 부딪히는 힘이 더 커서 상자가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번즈 탐사부국장대행은 이 상자를 나선형의 입자가속기로 대체하고 그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너의 떨림을 내게 보여줘!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많은 곡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주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물체가 공진해 떨리는 모습인 공진 모드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며 “220Hz는 랩 위 거울이 시소처럼 왔다 갔다 하도록 만드는 공진 주파수와 가까웠던 것 아닐까 추측한다”고 해석했습니다. 반면 ... ...
- [기획] 스케이트 보딩, 에너지를 창조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스케이트 보더의 움직임처럼 경사면을 오르내리는 물체의 운동은 운동역학에서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설명합니다. 이 법칙은 마찰이나 공기저항이 없을 때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스케이트 보더가 출발선에 있을 땐 ... ...
- [연중기획] 학교에서 배우는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3탄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문제에는 ‘의사결정트리 학습법’ 캔과 페트병과 달리 간단히 나눌 수 없는 복잡한 물체의 이미지가 주어진다면, 인공지능이 풀어낼 수 있을까요? 이때는 기준을 체계적으로 표현할 방법을 찾아 사용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로 ‘의사결정트리 학습법’이 있습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