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마츄어
비전문가
애호가
호사가
문외한
미숙자
평신도
d라이브러리
"
아마추어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13일은 스위프트 - 터털혜성이 남긴 잔재,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극대기다. 별똥별의 궤적을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해보고 혜성과 충돌한 목성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자.지루한 장마가 끝나고 오랜만에 만나는 푸른하늘이 푸른 산, 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온통 세상을 푸르르게 만들며 우리 가슴을 설 ... ...
목성·혜성 대충돌 '황홀한 우주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첫번째 파편의 목성 충돌 장면을 촬영하데 성공, 국내에 사진을 전송해오기도 했다.또
아마추어
천문가들을 위한 각종 행사도 때맞춰 마련돼, 관측의 열기로 뜨거운 여름밤을 더욱 달궜다.슈메이커-레비 혜성은 지난 1993년 천문학자인 유진 슈메이커가 이끄는 천체관측 연구팀이 우연히 발견한 혜성.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혜성충돌로 밝아지는 목성의 위성 이오의 변화를 살펴보고 사수자리 주변을 배회하는 천왕성과 해왕성을 관측해보자.올여름 쌍안경을 하나 구입해 휴가를 떠나보자. 아무것도 모르지만 밤하늘을 겨냥해 보라. 무수히 많은 별들이 당신을 반길 것이다. 성도라도 하나 구입해 견우와 직녀성을 찾은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중의 하나다. 망원경이 갖지 못하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어 개별적인 관측장비로서 많은
아마추어
들의 길잡이 노릇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쌍안경은 초기에 오페라 경(鏡)으로 쓰이다가 1820년 경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1900년경에 독일의 칼 차이스(Carl Zeiss)가 고안한 ZCF(Zeiss Center Focus)형식의 쌍안경이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못하기 때문에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고 이 때문에 별리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시상이라는 용어에 익숙하다. 이것은 대기에 의해 허용되는 상의 안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부근에 있는 별빛이 지평선 가까이 있는 별빛보다 시상의 영향을 덜받게 된다 ... ...
이중성알비레오, 환상적자태자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있다. 30배 밝아지면 약2등급의 별들과 맞먹는 밝기이다. 작은 망원경 밖에 없는 우리
아마추어
가 이러한 귀중한 천문현상을 제대로 관측하려면 많은 관측을 통해 목성 표면과 위성들의 위치 변화에 익숙해져야만 할 것이다. 남쪽의 밤하늘따뜻한 봄나라를 호령하던 사자가 더위에 밀린 탓인지 ... ...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밤이 짧아진 5월. 이달은 오는 7월 슈메이커-레비 혜성과 충돌하는 목성(-2.5등급) 관측의 최대 호기다. 80㎜ 굴절망원경으로 목성의 줄무늬를 상세히 관측해 보자.하지점을 향해 치닫는 태양의 기세가 무섭다. 그 탓에 5월의 밤은 무척 짧다. 저녁 9시가 넘어야 별을 제대로 볼 수 있고 새벽 3시를 넘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본격적으로 봄철의 별자리들이 하늘을 뒤덮는다. 새벽하늘에 나타난 귀달린 행성 토성을 50㎜ 쌍안경으로 살펴보고 황소자리에 위치한 금성과 4대 위성과 함께 등장한 목성의 자태를 소상히 관찰해보자. 이달의 행성■ 새벽하늘에 나타난 토성거대한 고리를 가진 행성인 토성을 이달부터 새벽하늘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위한
아마추어
천문 모임. 이 모임에서는 천체 관측의 기본부터 천체 사진촬영까지
아마추어
천문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각자의 의지에 따라 배울 수 있다. 함께 망원경을 구입하여 함께 관측회도 다닌다.(02-453-8178 ... ...
3월 국내 첫
아마추어
천문대 오픈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운영하는 가평관측소가 있을 뿐이다.책임연구원인 김지현씨는 "진천 천문대가
아마추어
천문인들의 공동 연구 장소로, 또 초보자들의 천문교육장소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재정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문의처 전화 02-319-0303, 02-453-8178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