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어린이과학동아
"
고대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물지도 어디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28
보물 지도 어디 없을까? 보물 지도가 있어도 지도를 볼 줄 알아야 보물을 찾지.
고대
인이 만든 지도부터G PS,수중로봇등이 만드는 현대의 지도, 3차원 영상으로 나올 미래의 지도까지 지도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고.(40쪽) ...
매직 크리스마스! - 3개의 선물상자를 열어라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14
열어 봐, 열어 봐. 이 상자를 여는 순간, 즐거운 크리스마스로 함께 가는 거야~! 마술은 이집트에서부터! 마술은 지금부터 3800년 전인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어. 거위 목을 잘라서 다시 원래대로 붙이거나, 컵에 구슬을 넣고 구슬을 사라지게 하는 마술이 그림이나 글로 기록되어 있거든. 정말 오~래 전부터 마술을 했지? ...
살아 숨쉬는 녹색의 도시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않니? 나폴리와 로마 나폴리는 이탈리아 반도의 남쪽에 위치하는 도시로 폼페이 유적으로 유명합니다.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로서
고대
로마제국의 유산을 고스란히 갖고 있어요. 덕분에 두 도시는 전 세계에서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도시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 최신식 고층빌딩이 즐비하고 번쩍거리는 네온사인이 멋진 한국의 도시들. 하지만 뭔가 아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세 번에 걸친 마을 투표 끝에 결국 비내리제를 하기로 결정했다. 우리 마을의 비내리제 소식은 전국의 매스컴을 들끓게 했다. 마침내
고대
하던 비내리제날 아침. 유적지 주변은 비내리제를 구경하기 위해 각지에서 몰려든 사람들과 최첨단 보도장비를 총동원하여 취재에 열을 올리고 있는 기자들로 북적였다. 비내리제 시간이 다가오자 백년 전처럼 흰 옷을 차려 ...
1922년 11월 4일 이집트 파라오 투탕카멘 무덤 첫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1922년 11월 4일 이집트 파라오 투탕카멘 무덤 첫 발견 영국의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와 카나본경은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인 투탕카멘의 무덤을 처음으로 발굴한다. 투탕카멘은 어려서 즉위해 재위 9년 만인 18세에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그러나 최근그의미라를 X선과 CT등 첨단장비로 촬영하면서 죽음의 비밀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14
인도에서 만들었던 팔이 수십 개 달려있는 불상 역시 역동적인 팔의 움직임을 단계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인류는
고대
부터 움직임을 표현해 보려고 꾸준히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애니메이션처럼 실감나는 영상을 만들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잔상효과라는 원리를 이해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지요. 잔상효과가 애니메이션의 원리 사람 ...
피라미드에 사는 악어 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11
열리고 있다. 전시회에서는
고대
이집트 왕인 투탄카문의 황금 마스크를 비롯해 임신한 악어를 본뜬 신과 전갈의 여신상 등 100여 점의
고대
이집트 문물을 볼 수 있다. 곡식을 가는 여인과 의사의 우두머리 인형 등 당시 이집트인을 묘사한 인형도 흥미롭다. 피라미드 내부 모습과 고고학자의 발굴 현장도 생생하게 재현돼 있다. 전시를 다 ...
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14
패턴까지 알아 내는 데 성공했다. 자연에서 나타나는 패턴이 수학과 연루되어 있다는 생각은 아주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수학자들은 이미 소라나 고둥에서 나타나는 황금비를 알고 이를 건축에 응용했다. 사람의 몸은 비례를 연구하는 수학적 도구로써 매우 유용했다. 우리가 수를 발명한 것도 알고 보면 손가락과 발가락을 쓰면서부터였으니 수학은 ...
토끼를 세자! 토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14
완벽한 황금비인 1.618을 이룬다. 황금비는 계란의 가로세로 비, 식물의 잎차례, 바다의 파도, 태풍이나 은하의 형태에서도 나타난다.
고대
인들은 황금비로부터 신비로움과 편안함을 느꼈다. 그리스 시대에서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건축물과 조각상에는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비가 숨어 있다. 케플러는 황금비에 의한 분할을‘신의솜씨에의한성스러운분할이라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313
시계예요. 중국에서는 기원전 11.13세기경부터‘표라는 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우고 해그림자에 따라 시간을 측정했다고 해요.
고대
이집트의 신전 입구에 세워진 오벨리스크도 같은 구실을 하는 것이었지요. 그럼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해시계를 사용했을까요? 이미 고구려나 백제에 시간을 측정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기록들이 있으나 현재 전하는 유물은 없어요. ...
이전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