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65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생활장학금' 재원 확보 '삐거덕'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연구비를 넉넉하게 확보하지 못해 그간 학생연구원에 대한 지원이 어려웠던 대학이나
학과
로 하여금 안정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학생연구원에 대한 처우가 열악했던 연구실을 중심으로 지원 제도를 확대해 이공계 학생 일자리 질을 전반적으로 개선한다는 ... ...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발열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해결할 실마리를 찾았다. KAIST는 김세권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현우 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로 반강자성체에서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를 세계 최초로 발견해 물리 및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반강자성체는 인접한 원자의 전자스핀이 ... ...
바퀴벌레도 잡는다는 '풋샴푸' 정체는
과학동아
l
2024.06.15
세탁세제에는 소듐 라우레스설페이트가 들어있었다. 권용진 경성대 화장품
학과
교수와 이설훈 동덕여대 화학·화장품학부 교수는 계면활성제마다 세정 능력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계면활성제가 물에 녹았을 때 어떤 이온이 되는지에 따라 세정능력이 달라진다는 일반적인 공식이 있다. ... ...
[과기원NOW] GIST,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개발 나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등이 초청돼 강연한다. ■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한상윤 로봇및기계전자공
학과
교수가 ‘국제 광학 및 전자기학 연구 심포지엄’에서 40세 미만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한 교수는 실리콘 포토닉스의 저전력화 기술로 대규모 광학 회로 구현에 ... ...
515억 통큰 기부…정문술 전 KAIST 이사장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5억원을 추가 기부해 총 515억원이라는 고액을 KAIST에 기부했다. 기부 금액은 바이오및뇌공
학과
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설립에 쓰였다. 고인은 KAIST 기부금 약정식에서 “부를 대물림하지 않겠다”고 밝혀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기도 했다. 2014년에는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 ...
마라톤, 중년에겐 '돌연사' 원인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박경민 순환기내과 교수, 김영주 성신여대 운동재활복지
학과
교수 연구팀이 운동 부하 고혈압 관련 논문 24개를 종합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달리기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 ...
6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승규 교수…해양 미세플라스틱 이동·축적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김승규 인천대 해양
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해양 미세플라스틱은 ... ...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성공률 높인다…이식세포 사멸 원인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속도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태완 학제
학과
융합전공 교수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뇌에 이식하는 줄기세포가 이식 후 사멸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김 교수는 임상 적용이 가능한 줄기세포 생존율 향상 방법도 개발했다. ... ...
中, 12일 푸바오 공개…외교와 멸종 보호 연구 위해 오고가는 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암컷 '리리'와 수컷 '밍밍'이다. 당시 에버랜드 동물원장을 지낸 신남식 서울대 수의
학과
명예교수는 "판다들이 4년 동안 에버랜드에 지내는 동안 중국에서 온 사육사가 상주하며 관리했다"면서 "판다가 아프거나 특이한 행동을 할 때 관찰하며 함께 연구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판다의 변이 좋지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양자자기센싱그룹이 김갑진 KAIST 물리
학과
교수팀, 이창구 성균관대 기계공
학과
교수팀, 임미영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BNL) 연구원과 함께 상온의 2차원 자석 표면에서 스커미온을 구현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3일 국제학술지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