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658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항 영일만 석유 매장?…전문가들 "기대 일러"vs"해볼만"
2024.06.03
성공만 한다면 성과는 좋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
학과
초빙교수는 "한국석유공사에서 물리탐사를 진행하고 외국 기관에서 검증도 해준 것"이라며 "탐사에만 4~5년이 걸리기 때문에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일단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지역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의 둥지에 알 낳는 뻐꾸기, '종분화'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종이 탄생했을 것이란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레베카 킬너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뻐꾸기와 숙주 새가 경쟁하는 과정은 ‘공진화’가 ‘종분화’와 연관이 있다는 증거라고 30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공진화는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종들이 서로의 진화적인 변화를 ... ...
'좋지 않다'가 '나쁘다'를 뜻하진 않는다…美 연구진, 실험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걸리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리아나 주아나치 미국 뉴욕대 심리
학과
연구원팀은 형용사에 부정 표현(영어에서 not)을 붙인 부정문의 의미를 우리 뇌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 3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우리 뇌에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
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백신』, 『의학을 이끈 결정적 질문』, 『처음 ... ...
美 조류독감 세번째 감염자 등장…호흡기 증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호흡기 증상에 우려를 표했다. 시마 락다왈라 미국 애틀랜타 에모리대 미생물학 및 면역
학과
교수는 "바이러스가 인간의 몸에서 적응하면 호흡기에서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얻어 사람 사이에서도 퍼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안젤라 라스무센 캐나다 서스캐처원대 백신 및 전염병기구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20년 전 소용돌이 분극을 이론적으로 처음 제시했던 로랑 벨라이쉬 미국 아칸소대 물리
학과
교수와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했다. 실험에서 확인한 소용돌이 분포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계산으로도 잘 설명된다는 것을 추가로 증명했다. 양용수 교수는 "주변 환경과 무관하게 강유전체의 크기와 형태를 ... ...
버려지는 오렌지 껍질서 심혈관 질환 억제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유 왕 미국 플로리다대 식품학·인체영양
학과
교수 연구팀은 오렌지 껍질 추출물이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물질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28일 국제학술지 ‘농업식품화학저널’에 발표했다. 장에 서식하는 장내세균 중 ... ...
세계 곳곳서 죽어가는 성게들…"폐사 속도, 위협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단세포 병원체가 원인일 것으로 보았다. 옴리 브론스타인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해양생물
학과
교수 연구팀은 동일한 병원체의 영향으로 다른 종의 성게들 또한 매우 빠른 속도로 죽어가고 있다는 논문을 23일 국제학술지 ‘현대생물학’에 발표했다. 2022년 7월에는 그리스 해안에서 죽은 성게들이 ... ...
세브란스병원, 췌장암‧간암 대상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2년 국소제어율이 86.7%였고 2년 생존율은 68.3%로 높았다. 금웅섭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
학과
교수는 “췌장암과 간암은 주변에 정상 장기가 많고 발견이 늦는 경우가 잦아 수술이 어려운 상황이 많지만, 중입자치료는 이때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기존의 항암치료와 새로운 중입자치료의 ... ...
KAIST,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규모의 양자팹을 전면 개방해 운영하게 된다. 구축 사업 책임을 맡은 조용훈 KAIST 물리
학과
교수는 “개방형 양자 공정 인프라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양자가치사슬의 출발점”이라며 “다양한 양자 플랫폼 구현에 필요한 공정을 연구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협의체를 구성하여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