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수학동아 l201102
- 컴퓨터는 몇 살쯤이라고 생각할까. 1965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수학과 로프티 자데 교수는 애매한 표현을 컴퓨터에 이해시키기 위해 퍼지집합이란 새로운 이론을 만들었다. 퍼지(fuzzy)는 영어로 ‘경계가 확실하지 않은’, ‘흐린’이라는 뜻으로 애매하다는 의미다. 보통 수학에선 애매한 ... ...
-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02
- 1995 가을 중등부 A레벨 1번친한 두 천재 스티븐과 피터가 있다. 스티븐은 교수님으로부터 세 자연수의 합을 들었고, 피터는 그 곱을 들었다.스티븐 “네 수가 내 것보다 크다는 걸 안다면 세 수를 내가 맞힐 수 있을 텐데.”피터 “하지만 내 수는 네 것보다 작다고. 그리고 세 수는 X, Y, Z야.” 이 세 ... ...
- 금융전문가가 되는 길수학동아 l201102
- #그동안 수학이 돈을 다루는 금융산업에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봤습니다. 과거 MIT 수학교수였다가 자신이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린 세계적 펀드회사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의 제임스 사이먼스나 수 계산에 능한 수학의 귀재며 가치투자로 세계 두 번째 부자가 된 ‘오마하의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02
- 사람들의 웹 속 행적인 ‘디지털 로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거대한 가상 실험실”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인터넷 속의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아직 꿈 같은 얘기다. 하지만 데이터 과학은 ...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과학동아 l201102
- 완전히 멸망한 5000만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학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과학동아 l201102
- 커트라인을 고민할 게 아니라, 큰 방향부터 정해야지. 일단 좋은 연구를 하려면 좋은 교수진과 실험시설, 연구환경이 갖춰진 학교에 들어가야겠지. 그런 학교들이 흔히 말하는 명문대인 거야. 그래서 다들 명문대에 들어가려고 하고, 경쟁률이 높아지는 거지. 일반적인 명문대에 수시전형으로 ... ...
- 사람 없어도 척척! 무인기술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02
-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02
- 지저귀는 쥐가 탄생했어요. 일본 오사카대학교 생명공학대학원의 야기 다케시 교수팀이 새처럼 노래하는 쥐 100마리를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02
- 조절 가능해 어디든 운항할 수 있다. 9. 빛나는 바다러셀 세이츠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해양 표면을 빛나게 만드는 자연물을 고안했다. 바로 거대한 양의 미세기포(microbubble). 연구팀은 미세기포를 해수 표면에 주입해 햇빛을 막는 거울로 쓰자고 제안한다. 기포는 배를 이용하거나 물속에 ... ...
- Part 1. 구제역 전파과학동아 l201102
- 없어 단백질 캡슐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산성이나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