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수학동아 l201101
- 회사 시계의 초침이 어디에 오면 점심시간이 시작되는지, 평소 1분 1초까지 세심하게 따지던 클락. 시계 없이 살아보니, 시간은 제멋대로 빠르게 또는 천천히 흘러가는 것 같다. 아마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때문인 것 같다고 느끼고 있던 순간, 다들 어마어마한 짐을 짊어지고 하나둘씩 나타 ... ...
- PART 2-1. 째깍째깍, 수학으로 가는 시계수학동아 l201101
- 세슘이와 수정이의 이야기를 들으며 골똘히 생각에 빠진 클락. 시계를 과학자가 만들었다는 사실에 한 번 더 놀랬다. 그런데 세슘이는 수학도 잘해야 한단다. 아~ 과학도 어려운데….근데 있잖아. 나는 컴퓨터의 오른쪽 밑에 나오는 시계나 휴대전화 시계, TV나 라디오 시계가 가장 정확한 시계인 줄 ... ...
- 1년간 수학동아 부록 표지에서 만나는 컴퓨터 그래픽 예술가 폴 닐랜더수학동아 l201101
- 수학적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깊이 있는 작업이 힘들었다. 그는 포기하지 않고 수학과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뒤늦은 수학 공부를 통해 깊이 있는 수학 예술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하지만 그가 처음 작품을 만들어냈을 때는, 프랙탈이 지금처럼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 ... ...
- Part 2-2. 지금의 시계가 있기까지수학동아 l201101
- 너희의 말을 들으니까, 시계가 정말 대단한 일을 하고 있구나. 진짜 피곤하겠다. 그동안 모른 척했던거 진심으로 사과할게. 아 참! 그런데 수정아, 너희가 발명되기 전에는 어떤 재료를 이용해서 시계를 만들었어?내가 발명되기 전까지는 톱니바퀴나 진자를 이용해 시계를 만들었어. 난 지금도 톱니 ... ...
- Intro. 수학스타 M 선발대회수학동아 l201101
- 지난 가을 슈퍼스타K2에서 135만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새로운 스타가 탄생했다. 최종 우승자뿐 아니라 노래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후보자들 모두가 스타였다. 수학에도 슈퍼스타K 못지않게 열정으로 가득한 대회가 있다. 바로 ‘수학스타의 산실’ 수학올림피아드다. 그 뜨거운 열기 속으로 들어 ... ...
- Part 2.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닮았다수학동아 l201101
- 사람을 발굴해 수학자의 길로 이끄는 중요한 통로가 되고 있다. 송용진 인하대 수학과 교수는 “한국 대표로 IMO에 나가 상을 받은 사람의 60%가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있다”고 말했다.물리나 화학, 생물 등의 분야에도 올림피아드가 있지만 수상자가 해당 분야에 계속 남는 비율은 수학이 가장 ... ...
- Part 4. 진정한 수학스타 탄생을 위해수학동아 l201101
- 잘 나타나는 대목이다.한국에서도 IMO 수상자가 수학계에 끼치는 영향은 크다. 송용진 교수는 “한국 대표로 참가한 사람들의 대부분이 수학과로 진학하면서 명문대 수학과는 의예과를 제외한 자연계에서 합격점수가 가장 높은 학과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말했다. 수학영재라면 수학과를 간다는 ...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과학동아 l201101
- 사람 세포에서도작용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연구팀을 이끈 크리스 스콜필드 교수는 “단세포생물과 달리 다세포생물은 충분한 산소가 필요하다”며 “산소가 세포 표면뿐 아니라 속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소가 풍부해지자 일부 단세포생물들은 산화반응으로 ... ...
- 토종 로봇 휴보, 미국-싱가포르 수출과학동아 l201101
- 연구에 토대를 제공한 것이다.오준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기계공학과 교수)은 2009년 말 발표한 두 발로 달리는 로봇 ‘휴보2’를 미국 대학과 싱가포르 국책연구기관에 총 8대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12월 8일 밝혔다. 휴보2는 인간형 로봇으로 사람처럼 두발로 걷고, 달릴 수 있으며 5개의 ...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과학동아 l201101
- 수 있는 ‘투명메타물질 발견’을 중요 발견으로 정했다. 미국 듀크대 데이비드 스미스 교수팀은 2006년 투명망토의 재료 물질인 ‘메타물질’을 개발했다. 메타물질은 빛을 흡수하지도 빛을 반사하지도 않는다. 대신 빛(마이크로파)이 휘어 지나가게 해 마치 물체가 그 자리에 없는것처럼 속인다.이 ... ...
이전3703713723733743753763773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