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01
한다. 심지어 선박관련 법규나 수출입통제 관련 경제 상식까지 알아야 할 때도 있다. 이
교수
는 “선박공학을 전공하려면 학문간 경계를 넘어 열린 마음으로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그런 통합적인 사고를 가진 인재들이 많이 찾아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고수의 비법전수 지식이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
과학동아
l
201101
취재해 담았다. 2파트는 상온 다강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김기훈
교수
와 김재욱 박사가 다강체의 개념과 응용을 소개하는 글이다. 3파트는 얼음과 구조가 같은 스핀 아이스라는 물질에서 구현된 모노폴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뤘다.아직 물리학자들에게도 낯선 수상한 물질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01
강한 다강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미국 럿거스대 물리학부 정상욱
교수
팀(논문의 제1저자는 당시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허남정 현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
)이 만든 터븀망간산화물(TbMn2O5)은 영하 270℃의 극저온에서 강한 자기장(지구자기장의 약 4만 배에 해당하는 세기)에 의해 전기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01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레드필드
교수
는 “박사 과정 학생이 이 데이터를 가지고 왔다면 다시 실험실로 돌려보냈을 것”이라며 연구팀을 혹독하게 비판했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왜냐하면 충격적인 논문을 싣겠다는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01
탄소나노튜브를 층층이 섞으면 전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김
교수
팀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종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파르르 떤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은 어떤 물질을 누르거나 구부리면 전기가 생기는 압전효과의 반대 현상이다. 그 뒤 NASA와 함께 원격 조종할 수 있는 종이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01
각각이 견고히 엮여 있었고 산란된 햇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했다. 플로트킨
교수
는 “노란줄무늬에 있는 ‘잔소프테린’이라는 색소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처럼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꾼다”며 “보통 말벌은 이른 아침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지만 황말벌은 낮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는 것도 그런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1
#1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 ... 빠지지 않는 단골이기도 하다. 2010년 4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빛내리
교수
를 한국 과학의 미래를 이끌 국가과학자로 선정했다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01
만들어 하천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미 연구실에서는 기초 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
교수
는 “환경을 하는 사람에게는 이런 환경 변화가 생길 때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생태계를 사랑하면서 화학 및 생물학 기초가 충실한 학생이 연구실에 많이 지원해 함께 연구하면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01
인공지능 기술이, 이렇게 만든 로봇 속으로 스며들어오길 기대하면서요. [오준호
교수
팀은 로봇 휴보를 개발할 때까지 KHR-0, KHR-1, KHR-2 총 3대의 실험용 로봇을 만들었다. 이런 실험용 로봇들의 완성도 역시 상당히 높다. KHR-2는 휴보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갖고 있다. 사진은 KHR-1의 한 쪽 다리로, ... ...
눈속임 잘 하면 '킹카'
과학동아
l
201101
따라 피부색이 결정된다.1920년대 독일 조형학교 중 하나인 바우하우스의 요하네스 이텐
교수
는 최초로 피부색을 4계절 자연색으로 나눴다. 그는 사람마다 잘 어울리는 색과 어울리지 않는 색이 있음에 주목했다. 지금도 색채 전문가나 패션디자이너들은 그의 이론을 활용한다. 4계절 색에 해당하는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