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때문에 송어·연어와 같은 어종은 그 하천이 있는 나라가 어획의 권리를 가진다는 주장이
국제
해양법 상에서 제기되고 있다화성의 양극에서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이른 봄 화성에서는 극을 중심으로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 ...
싱글족의 함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칼슘의 양이 700mg보다 적을 경우 골다공증의 발병률이 더 높았다. 이 결과는 지난해 7월 ‘
국제
골다공증저널’에 실렸다. 김 교수는 자신도 싱글족이라고 밝히며 “철저한 건강관리 없이는 화려한 싱글생활도 없다는 원칙을 싱글족 스스로 세워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기러기아빠에게 가장 필요한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창의적인 생각과 최첨단 레이저 장비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자들이 모여
국제
심포지엄을 처음 개최한 것도 지난 2002년일 정도로 ‘늦깎이’ 연구주제지만 그 분야에서 맹활약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과학자가 있어 눈길을 끈다. 주인공은 바로 다차원분광학연구단의 조민행 교수.조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두고 점점이 접합하는 것폴란드인 자메호프에 의하여 1887년부터 공표·사용하게 된
국제
보조어의 하나CAI(Computer Aided Instruction)에서 쓰이는 용어 일선 교사들이 컴퓨터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교습방법을 교육용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장 오래된 원인(猿人)에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8년 고산 씨가 18가지 과학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오면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대한
국제
적 위상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셰이크 무스자파 e메일 인터뷰 우주인에 지원하게 된 동기는?10살 때부터 우주인을 꿈꿨다. 밤하늘을 보면서 지구 밖에 생명이 있을지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이 단백질이 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위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 독일 온라인
국제
저널 ‘공공과학도서관’(PLoS ONE) 9월 16일자에 발표했다.철새의 눈에서 시각 정보를 감지하는 망막에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망막에 신경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된다. 우여곡절 겪은
국제
공동연구 “브록스마이어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영광스러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을 줄이야….”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는 한양대 의대 김계성 교수 ... ...
칼 삼키는 묘기, X선으로 파헤치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침대에 사는 벌레와 해충 박테리아 연구’▽화학상 = 야마모토 마유(일본
국제
의료센터) ‘쇠똥으로 바닐라 맛내기’▽언어학 = 후안 마누엘 토로, 조세프 트로발론,누리아 세바스티안 가예스(이상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일본어와 네덜란드어를 거꾸로 읽을 때의 쥐 이해력 연구’▽문학상 =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 경영 사례가 11월부터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수업자료로 이용될 정도로
국제
적인 지명도를 쌓았다. 싸이월드의 성공에 힘입어 미국에는 ‘마이스페이스’란 이름의 세계 최대 SNS 사이트가 생겼는데, 최근 가입자가 2억명을 돌파했다.그러나 SNS 사이트도 변화에 직면했다. 아이러브스쿨은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김 교수의 연구는 지난 2월 IT 분야 최고 학회로 정평이 난
국제
반도체회로학술회의(ISSCC)에서 주목을 받았다. ISSCC는 ‘황의 법칙’이 무어의 법칙을 뒤엎은 학회로 새로운 IT 기술의 데뷔 무대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돕는 칩을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