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300초로 충분하다. 2015년 프랑스 키다라쉬에 실제 핵융합발전로를 건설할 계획인
국제
핵융합로(ITER)가 목표로 하는 운전 지속 시간도 500초다.현재 KSTAR는 ITER의 테스트 베드로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ITER 연구팀은 건설비를 줄이기 위해 핵융합로를 재설계하면서 KSTAR와 비슷한 방식으로 초전도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주목받고 있다.‘하이테크’ 아닌 신선한 발상으로 세계 1위 ‘ID+IM’ 연구실은 대만
국제
디자인공모전에서 ‘소비자에게 호소력을 갖는 제품은 수준 높은 기술이 아니라 생활 속을 파고드는 아이디어와 디자인에 있다’는 메시지를 던졌다.배 교수는 “최고상인 금상을 받은 ‘바텀업’은 위생 ... ...
PART1 가솔린 무너뜨리는 바이오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이제 가솔린과 ‘진검승부’를 벌일 수 있을 정도로 가격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
국제
에너지기구(IEA)는 바이오에탄올 생산비용이 2002년 1갤런(약 3.8L) 당 0.5달러(약 450원)에서 2005년 0.45달러(약 400원)로 약 10% 떨어졌으며 2030년에는 현재의 50~70% 수준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한다.하지만 ... ...
지구온난화로 부활하는 러시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과연 지구온난화가 계속 진행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미국 잡지‘애틀랜틱’이 최근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50~100년 뒤 각 나라의 힘이 어떻게 변할지 ...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파키스탄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고 남극과 북극,그린란드를 둘러싸고
국제
전쟁이 일어날 수 있대요 ... ...
지문만 봐도 흡연자인지 알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독일 화학지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국제
판 5월 25일자에 발표됐다.우리가 뭔가를 잡으면 물체 표면에는 지문이 찍힌다. 이 지문에는 손가락 표면의 땀구멍에서 분비되는 지방이나 단백질 같은 체내 물질이 담겨 있다.흡연한 사람의 지문에는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31조5000억원)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태양광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이유는
국제
유가가 폭등하고 2005년 교토의정서가 발효된 탓이지만 태양광전지의 효율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기 때문이기도하다.1954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실리콘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만들어 처음 상용화했을 때 ... ...
소유즈호 컴퓨터 처리속도는 5Hz?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우주선을 ‘조종’한다기 보다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임무가 대부분이다.하지만
국제
우주정거장과 도킹하다가 비상사태가 벌어질 경우에는 선장이 직접 조종한다. 1985년 우주정거장 살류트 7호가 자동도킹시스템이 고장 났을 때 소유즈호에 타고 있던 블라드미르 쟈니베코프가 우주정거장에 ... ...
악어와 사랑에 빠진 남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때마다 이 말을 빼놓지 않는다.악어뿐 아니라 많은 야생동물이 위기에 처해있다. 2005년
국제
연합의 밀레니엄생태계평가위원회는 ‘밀레니엄생태계 평가 보고서’에서 현 추세가 유지될 경우 생물 멸종의 속도가 조만간 100배에서 1000배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둥글고 넓적한 주둥이를 가진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설명할 수 없어 수수께끼로 남아있다.다음으로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은? 2005년 4월
국제
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목성보다 약간 큰 ‘OGLE-TR-122b’라고 한다. 천문학자들은 칠레에서 약 200개 별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을 관측하다가 태양과 비슷한 ‘OGLE-TR-122’라는 별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탄소물질 만들어유 교수가 나노 다공성 물질 연구에 발을 디딘 때는 1993년이다. 한
국제
학회에서 나노크기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뚫린 새로운 실리카 물질이 개발됐다는 소식을 들은 그는 같은 물질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당시에도 다공성 물질을 연구했던 유 교수는 다양한 실험 끝에 기존보다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