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관목이 섞인 초원)가 펼쳐져 있으나 초원이나 숲의 아래에는 당시의 모래언덕지형이
남아
있다.그 무렵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막도 지금보다 5백㎞ 남쪽까지 펼쳐져 있었다. 그곳은 지금 유카리(eucalyptus. 상록거목)의 숲이나 곡창지대가 되어있으나 목초지에서는 역시 당시의 모래언덕 모양을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그 면적은 국토의 6분의 1에 이르고 있다.그러나 소련에서의 농업적지는 이 일대밖에
남아
있지 않다. 건조지 주변의 관개농토는 전농토의 3분의 1, 식물성 기름의 5분의1을 차지할 정도로 크다.이 일대의 개발을 노렸던 브레즈네프 정권은 지구개조 계획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웅대한 구상을 ... ...
베르너 폰 브라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이 되겠다고 고집을 부려 그의 아버지 '폰 브라운' 남작은 골치아파 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그의 로케트에 대한 연구심은 대단 했다. 1930년8월5일 '오벨트'를 도와 과학기술 시험소 시험장에서'원추(圓錐)엔진ㆍ로케트'의 실험에 성공하여 첫 기세를 올렸다. 그러나 연구비가 없어서 구경온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대한 천대의식이
남아
있고, 기술자들도 대충대충 값싸게 물건을 만드는 버릇이
남아
있는 것같습니다.”김교수는 1952년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국방부 과학기술연구소와 국립공업연구소를 거친 뒤 71년부터 한양대에 재직하고 있다. 30여년간을 연구소와 대학에서 고분자 연구에 매진해온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해저 보다는 오히려 달을 더 잘 알고 있읍니다. 해저가 그토록 오랫동안 미지의 땅으로
남아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달은 육안으로 쉽게 볼 수가 있읍니다. 과학자들 뿐만 아니라 시인들도 달에 관심을 기울여 왔읍니다. 어떻게 하면 좀더 가까운 거리에서 달을 관찰할 수 있을까가 모든 ... ...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삭박작용을 받아 대부분 소멸되어 버렸고 호남탄전지대인 화순탄광일대에 소규모로
남아
있다.중생대(2억2천5백만년전~6천5백만년전)초기와 중기에 걸쳐 한반도에서는 격렬한 지각운동, 화성활동, 변성작용이 일어났는데, 이를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이라 부르며 지리산 지역도 예외없이 이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세계에서 가장 긴 빌레못동굴을 비롯해 약 60여개의 화산동굴이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 제주도는 한마디로 화산동굴의 보고이다.화산동굴의 보고(宝庫) 제주도 동굴이라 ... 화산동굴로 총연장 3백80m길이의 동굴이다. 동굴내부에는 작전기지로 사용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는 동굴이다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나무뿌리 밑의 방사성 원소를 끌어내자는 것이다.물의 오염은 더욱 중대한 걱정거리로
남아
있다. 체르노빌 발전로에서 남쪽으로 80마일 떨어진 인구 2백40만의 우크라이나 수도 키에프시는 상수용 물의 반을 '드니에페르'강에서 공급받고 있다. 그래서 체르노빌 근처의 하천과 저수지의 오염된 물이 ... ...
한강물은 얼마나 맑아졌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이처럼 겉으로 드러난 한강의 변모만을 가지고 즐거워 하기에는 아직도 많은 문제들이
남아
있다. 한강개발사업으로 인해 달라진 환경이 자연생태계에 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한강의 수질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한강개발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 ...
암의 계몽, 조기진단 절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있지요. 이는 아직 현대의학의 능력으로는 완치된 환자 몸속에 암세포가 단 한개도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언젠가는 정복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암이 언젠가는 정복된다고 믿고 있읍니다. 17세기에 현미경이 나왔고, 암이 세포의 병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게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