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대규모 목장이 차례로 일궈지고 있다. 광대한 지역에 정성이든 손질이 각 국 유림이
남아
있기는 하나 새로운 목장 개척을 위해 많은 숲이 업어졌다.뉴질랜드의 또 하나의 풍경미는 크고작은 수많은 호수다. 북쪽섬 중앙의 '로토루아'호, '타우포'호 등은 화산성의 함몰호(陷沒湖)로 예외이지만 ... ...
일본에서도 태아의 성(性)선택 논란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가진 정자는 유전질환을보다 많이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라는것. 특히 혈우병은
남아
에게만 유전된다. '스기야마시로'라는 의사는 일본에서 가장 많이 성 선택을 해준사람으로 알려졌는데 그는 1백20명의 부인에게 인공수정을 시켜 24명에게 임신되도록 했다. 이들 24명중 1명의 부인만 아들을 낳도록 ... ...
늘어나는 식품첨가물의 위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그 유해작용 등의 이유로 제품이 완성되기 전에 중화 또는 제거되어서 완성식품 중에는
남아
있지 않는것도 있다. 이런 여러가지 식품 첨가물에는 천연색소나 천연향료와 같은 천연물도 있으나 화학적 합성품이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화학적 합성 첨가물 3백34종만이 법적으로 사용이 ... ...
대 빙하(大氷河)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빙하빙은 녹아서 흘러가버린다. 그러나 바위부스러기등은 소모역 주위와 말단 부근에
남아
대량으로 쌓이게 된다. 이것이 빙하퇴석(堆石·moraine)이다. 그리고 빙하가 거대한 힘으로 흐르면서 밀어붙인 언덕도 모레인이라 부른다. 극지역의 빙하에서는 함양량도 소모량도 적다. 그래도 신진대사는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가능성이 높다. 예를들면 천장을 단청할 때 신나와 같은 발화성 개스가 증발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고, 방수를 위해 바른 콜타르 등에서도 발화하기 쉬운 개스가 발생, 천장에 차있다가 전구가 터지며 튕겨져 나간 불똥이 바로 이 가연성 개스에 불을 당겼을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다. '펑'소리는 ... ...
아인슈타인은 어떤 사람이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서적이라면 한번 펴보기도 싫었다고 말한 일이 있다. 결과는 뻔했다. 대학에 조교로
남아
공부와 연구를 계속할 수 없었음은 물론이고 고등학교에서조차도 교사 자리를 주려는 데가 없었다. 결국 가정교사, 사설학원의 임시교사, 그리고 실업자 등등으로 전전하다가 겨우 채용된 것이 특허품 ... ...
식물공장을 목표로 농업에서의 컴퓨터 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각분야의 정보수집 분석 통합을 위해서 컴퓨터(전산화)는 필수적이다. 계통수 우측에
남아
있는 또하나의 가지, 생산보조시스템은 식물공장의 실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상정보 병충해정보 생육정보 종묘정보 등 모든 것이 데이타베이스화 되어있다. 이들 정보를 생산활동과 밀접하게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1로 줄어든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언제 죽었는지 모르는 식물이나 동물속에
남아
있는 방사성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죽고 나서 현재까지 몇년이나 경과되었는가를 산출해낼 수 있다. 이 방법을 발견한 미국의 화학자 '리비(Libby)' 박사는 그 공로로 노벨상을 받기까지 했던 중요한 ... ...
진화론의 새학설 유전자 진화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파리가 어떻게 공통의 유사 유전자를 갖게 되었느냐 하는 문제는 당분간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반면 분명한 것은 생명의 발전의 역사가 진행되는 동안 통제 유전자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수 백만 년 동안 그 구조는 기껏해야 세부적인 부분만이 조금 변화되었다. 그러나 진화의 결과는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Nordvedt)는 ${10}^{-6}$ 의 측정을 목표로 실험을 계속해 오고 있다. 중력파의 검출
남아
이같은 세가지 검증 뿐만이 아니라 약한 등가의 원리의 증명을 위한 실험도 그 정밀도가 더욱 좋아지고 있다. 1922년에 처음 '외트뵈스'(Eötvös)가 관성 질량과 중력질량의 차이를 ${10}^{-9}$의 값으로 측정한 이래 197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