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금속수산화물 등의 졸은 이에 속한다열역학적 평형상태에 있지 않고 전해질을
조금
가하면 쉽게 엉긴다 소아기에 발현하는 당뇨병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으로 일어나는 대사(代謝)의 이상상태(異常狀態)이며 소아당뇨병의 병형 가운데 가장 많은 형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다발병은 급격하며 ... ...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흡수하는 구조로 디자인해야 한다. 운전자나 탑승자가 머리를 부딪칠 가능성이
조금
이라도 있는 부품의 모서리는 반지름이 최소 3.2mm인 원형으로 처리해야 한다.또 충돌할 때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료탱크는 적절한 위치에 놓아야 한다. 과거에는 연료탱크를 대부분 차량 바닥에 뒀는데, ... ...
PART3 똑똑한 자동차의 비밀 베스트7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전방에 있는 차량까지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레이더에 차량이 포착되면 브레이크가
조금
움직여 운전자에게 속도를 줄이라고 1차 경고를 한다. 필요할 경우에는 최대 2m/s씩 알아서 속도를 줄인다. 볼보자동차의 ‘시티 세이프티’(City Safety)도 앞차와의 거리가 6m이하로 좁혀지면 1차로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가진 계기는 연주시차 측정 때문이었다. 연주시차란 지구에서 비교적 가까운 별이
조금
씩 자리를 옮기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지구가 태양주위를 돌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1년을 주기로 자리이동을 되풀이한다. 지구 공전의 확실한 증거를 제시할 수 없었던 당시 천문학자들은 별의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푸는 ‘쌍추억산법’이란 새로운 풀이법도 개발했다.최근까지 홍길주는 문학사에서만
조금
알려져 있었다. 필자는 문학사 연구자의 권유로 2, 3년 전부터 홍길주의 수학과 조선후기의 수학사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 결과 그의 수학이 중국과 다른 조선수학의 독특한 전통 아래서 꽃피울 수 있었다는 ... ...
자연의 마법 피보나치수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약수로 갖기 때문에 다른 숫자와 겹칠 확률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모든 씨앗이
조금
씩 어긋나게 배열되면 그만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피보나치수열로 빈틈없이 배열된 씨앗은 비바람에도 잘 견딜 수 있고 외부의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하다. 마찬가지로 줄기에서 잎이 돋아날 때도 ... ...
'효소 철기군'이 유전병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해결책이 ‘오카자키 조각’이다. 짧은 DNA 조각인 오카자키 조각을 여러 개 만들어 이를
조금
씩 이어 붙이면 된다.이를테면 일렬종대로 움직이는 사람들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던 사람 몇 명이 갑자기 몸통을 180°틀어 손을 잡는 식이다. 이런 회전이 몇 번 일어나다 보면 결과적으로 모든 사람이 ... ...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그것을 구부리거나 손가락으로
조금
씩 누르면, 그 플라스틱은 깨지거나 파괴되지 않고
조금
씩 변형된다 그리고 나중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구부려진 채로 남아있거나 움푹 들어간 모양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처럼 외부의 힘에 의해서 변형된 물체가 그 힘을 제거해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오지 ... ...
과학자들의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배수종이라고 한다열전자의 방출에서 양극전위를 높이면 전류가 완전히 포화되지 않고
조금
씩 증가하는 현상 1915년 W숏키가 발견했다 금속을 가열했을 때 표면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열전자라 하는데, 진공관의 경우 음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이 열전자는 양극으로 끌린다 이 때 양극의 전압이 높으면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백질이다. 항체가 많으면 항원이라는 바이오마커를 없애지만
조금
있으면 항원을 추적하는 ‘탐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항체의 3차원 구조를 인공적으로 변형시켜 다양한 표적을 찾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쥐, 토끼 같은 동물에다 암세포에만 있는 항원을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