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같은 선전문구가 붙을 지도 모르겠다. 어디 이 뿐이랴. 약물 하나로 날씬한 몸매를
유지
하며 병든 장기나 기능이 떨어진 부위를 새장기로 교체한다면…. 2010년 미래의 의료환경은 어떻게 변할지 미리 살펴보자. 경기도 분당의 한 대학부설 맞춤아기 클리닉센터. 박재훈씨는 분만실 앞의 긴 복도를 ... ...
예방주사 대체하는 백신 바나나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질병을 치료하는 일은 의학이나 약학 분야의 몫이지만,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하는 일에는 기능성 식품이 중요한 몫을 담당하게 된다.국내에서는 1989년 ‘건강보조식품’ 제도가 시작돼 현재 키토산가공식품, 베타카로틴식품 등 24개 품목군이 포함돼 있다. 예를 들어 키토산이 ... ...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생겨 세포증식이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세포증식이 일어난다. 게놈 항상성을
유지
하는 유전자에도 이상이 생겨 유전자 변이가 회복되지 않고 계속 축적된다. 이런 세포를 제거하는 세포자살 유전자에도 이상이 일어나 변이세포를 제거하지 못한다.이외에도 암세포가 더 빨리 증식하고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수온이나 염분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물 덩어리 바다 속에서는 그 특성이 계속
유지
되기 때문에 해류의 흐름 등을 유추하기 위한 추적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 동해에도 대양과 흡사한 여러 수괴가 있다어떤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실린 다른 논문에 얼마나 많이 ... ...
3. 한번에 OK, 일체형 자동차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이 필요하다. 즉 용접하는 부분을 아주 곧은 직선으로
유지
해 주기 위해 용접선을 추적하는 센서장치를 개발해야 하고, 두께가 서로 다른 재료를 용접하거나 복잡한 형상을 지닌 튜브를 자유자재로 용접할 수 있어야 한다.마지막으로 액압성형기술은 튜브를 원하는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는 우리나라가 앞으로도 계속 반도체 강국을
유지
해나가기 위해서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또는 가장 좋은 나노소자를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술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최초나 최고가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나노기술은 창의적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지져 만들어내는 떡은 일반 떡에 비해 알파녹말 상태의 부드러움을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
한다. 이밖에 설탕을 첨가하는 것도 노화를 방지하는 한 방법이다.물론 노화된 상태더라도 수분과 열을 가해주면 다시 알파녹말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딱딱한 떡을 찜통에 넣고 찌면 다시 부드러워지는 것은 ... ...
임신
유지
시키는 정자 속 단백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정자 속에 포함된 단백질이 수정란의 착상 실패와 조기유산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오스트레일리아의 애들레이드대 사라 로버트슨 박사팀은 정자가 분비하는 ‘TGF β’ 단백질이 수정란이 자궁벽에 제대로 착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의 처음 의도는 자궁 내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계속 반도체 제조에서 세계 최고의 자리를
유지
하려면 저장용량을 늘리고 신호처리 속도를 높이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러려면 단위면적에 가급적 많은 수의 반도체를 배열해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반도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크기 때문에 2차원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물질(강유전체)을 데이터 저장에 필요한 커패시터에 사용함으로써 전원 없이도 데이터가
유지
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다. 이 메모리는 198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돼 상용화가 부분적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고집적화를 위한 생산공정과 나노수준의 소재물질을 개발하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