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표면"(으)로 총 4,0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2015.01.13
- 전혀 반응하지 않거나 약하게 반응했다. 또 연구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BDNF 단백질 수용체가 건강한 심장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에서 조금 다르다는 사실 알아냈다. 이 수용체는 BDNF 단백질이 내보내는 화학신호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 ...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2015.01.12
- 병원체 세포 표면의 일부인 탄수화물 조각을 항원으로 뱉어내면 이 항원이 B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달라붙는다. 그러면 일련의 과정을 거쳐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전사가 일어나고 전사체(RNA단일가닥)나 역전사된 DNA이중가닥이 신호로 작용해 B세포를 성숙시켜 항체를 만들게 한다는 것. 이제는 ... ...
- 아빠 1명, 엄마 2명 ‘세 부모 체외수정’ 허용될까 2014.12.31
- NASA가 2007년 쏘아 올린 탐사선 ‘돈(Dawn)’은 내년 3월 세레스에 700km까지 접근해 표면을 관측한다. 또 2006년 발사된 ‘뉴 호라이즌스’는 내년 7월 명왕성에 근접해 첫 임무를 수행한다. 올해 아프리카에서만 80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에볼라 예방 작업이 내년에 결실을 거둘 수 있을지도 ... ...
- 에볼라 백신 임상 1상 첫 통과2014.12.30
- 에볼라 백신과 마버그 백신, 위약을 무작위로 접종했다. 백신에는 각 바이러스 표면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집어넣었다. 접종은 총 3차례 진행됐다. 첫 접종 후 4주 간격으로 2차와 3차 접종을 한 뒤 다시 4주 후 항체 반응을 실험했다. 그 결과, ...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2014.12.26
- 2014 올해의 과학사진 1위-로봇탐사선 ‘필래’가 착륙 직전 촬영한 혜성 ‘추리’ 표면 2위-남근(男根)의 기원 추적할 뱀 배아 3위-인공 핵융합에 한발짝 더, ‘Z 머신’ 4위-드물게 포착된 거대 쌍성의 병합 5위-6000만 년 전 북극의 비밀을 찾아서 6위-4년6개월 간 알 품은 ... ...
- 로제타가 보내온 화석의 정체, ‘집적 장벽’ 딜레마 해결할까?동아닷컴 l2014.12.24
- 켈러는 “공룡 알 모양의 화석 구조물은 햇빛이 가스와 먼지의 제트에 작용해 혜성 표면을 변화시킨 ‘승화’ 작용의 결과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DKBnews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2014.12.22
- 자일라허가 특히 흥미를 보인 생흔화석 가운데 팔레오딕티온(Paleodictyon)이라는 벌집표면처럼 생긴 육각형이 반복된 구조물이 있다. 자일라허는 과거 동물이 박테리아를 키울 농장으로 만든 구조물이라고 해석했다. 그런데 1976년 심해의 바닥에서 팔레오딕티온이 발견됐고 2003년 시료를 채취하는 ... ...
- 잘 휘면서 정보 오래 보관하는 유기메모리 소자 개발2014.12.21
- 정보를 오래 보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정보가 저장되는 금 나노입자 표면을 나노실리카 껍질로 감싸는 방식으로 정보저장능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나노실리카 껍질이 전하를 안정적으로 가두는 절연체층 역할을 한 덕분이다. 이렇게 만든 메모리 소자는 껍질이 없는 메모리 ...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2014.12.19
- 5억1000km 떨어진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도착한 뒤 올해 11월 13일 혜성 표면에 필레를 무사히 내려 놨다. 이후 혜성의 대기에서 물과 메탄, 수소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와 사이안화수소 같은 성분을 확인했다는 소식을 보내왔다. 이런 정보들은 지구 생명 탄생에 필요한 물과 유기 ... ...
- 나는 암세포 킬러, 암호는 ‘Y’ 2014.12.17
- 금 나노입자 표면에 Y자 형태의 단백질을 붙인 뒤, 단백질의 양끝에 각각 암세포 표면에만 달라붙는 단백질(트랜스페린)과 세포 침투를 돕는 펩타이드(Tat)를 붙이는 방법을 고안했다. 트랜스페린 자체는 암세포에만 골라 붙을 수 있지만 정작 내부로는 침투하지 못한다. 또 Tat 펩타이드는 세포 침투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