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도포되는 물질이며, 보통은 할로겐화은(브롬화은이나 염화은, 요드화은)의 미세한
결정
입자를 젤라틴 속에 분산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여러가지 첨가제를 가하며 필름베이스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사진감광재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건판이나 필름용 유제는 브롬화은과 염화은으로 된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 2002년 3월호에 발표했다.두 얼굴이 닮게 보이는데 가장
결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두 사람의 실제 유전관계와 상관없이 보는 사람이 부모와 자식간이라고 믿느냐 아니냐에 좌우된다는 것이다. 유형화시키면 정보처리 쉬워닮은 꼴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뭘까? ... ...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전사조절인자 유전자다. 흥미롭게도 일부 신호전달물질들은 신경제세포의 ‘계보’를
결정
하는데 관여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신호전달물질인 GGF와 BMP는 신경제세포를 각기 교세포와 교감신경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다.세포 표면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은 궁극적으로 일부 유전자 발현의 활성 ... ...
증기기관 vs 대기압 철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하지만 개통된 지 1년도 채 안돼 브루넬은 대기압 철도를 포기하고 말았다. 이런
결정
을 내린 것은 브루넬뿐만이 아니었다. 1844년부터 대기압 철도 붐을 타고 웨일스,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에서 대기압 철도가 100대 이상 건설되기 시작했지만 실제로 완공된 것은 네 곳 뿐이었다. 건설 계획이 있던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치료에 쓸지는 병의 종류나 원인,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다.배아줄기세포 ‘운명’
결정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분화유도물질 첨가. 배아줄기세포는 분화 초기에 수백~수천개가 공처럼 뭉쳐 배상체가 된다. 이를 배양접시에 담고 심장으로 분화시키는 물질을 처리하면 심장세포가 돼 실제로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멸종한 것이 아니라 여러 원인으로 백악기 후기부터 서서히 줄어들었고 어느 순간
결정
타를 맞아 지구에서 사라졌다는 주장이 많다.최근 전남대 허민 교수(한국공룡연구센터 소장)가 새로운 공룡 멸종 가설을 제시했다. 이른바 ‘고농도 산소와 산불 시나리오’다. 허 교수는 “백악기 후기 들어 ... ...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보여줬다. 또 익룡의 두 발 보행열은 그동안 풀리지 않던 익룡의 두 발 보행 문제에 대한
결정
적인 자료를 제공했다.우리는 해남 우항리에서 발견된 익룡보행열을 기초로 해남이크누스의 축소 골격을 만들고 보행렬 위에 익룡 모델을 세워 실험한 결과 새로운 사실이 나타났다. 익룡의 골격 구조와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이 새는 함께 발견된 황산이페스와 오리류가 신생대에 출현했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은
결정
적 증거였다.특히 해남 우항리에서 발견된 새발자국군은 한반도가 새의 낙원이었다는 사실에 더욱 설득력을 실어준다. 수백 개에 이르는 발자국 가운데 익룡 발자국 화석 위에 찍힌 발자국은 많은 새가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얻을 수 있게 된다.첨단 기술로 우주에서 살아남기아리랑 2호는 각종 첨단기술들의
결정
체다. 위성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상황이 수백 가지가 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아리랑 2호가 우주에서 제대로 작동하는 것은 고난도 ‘서바이벌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다.아리랑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박사를 청하여 오리라더라.”같은 날 아인슈타인은 1921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결정
됐고, 그 내용은 3일 뒤인 11월 13일 동아일보에 게재됐다. 아인슈타인의 일본 방문아인슈타인은 일본을 방문하기 위해 1922년 10월 8일 기타노마루 호를 타고 마르세이유 항을 출발했다. 그리고 11월 13일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