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서남극해의 해빙을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김 단장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이 운영하는 광역관측 인공위성을 활용해 남극해를 순환하는 ‘남극순환류(ACC·Antarctic Circumpolar Current)’의 패턴 변화도 종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남극순환류는 ...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스트롬’에서 매년 50억t에 가까운 얼음이 녹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2016년 미국과 호주 공동연구팀도 남극 동쪽에 있는 가장 큰 빙하인 토텐빙하가 녹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어요. 측정 결과, 따뜻해진 바닷물 때문에 토텐빙하는 매년 630억~800억t씩 그 양이 줄고 있으며 두께도 매년 1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렇다면 영혼의 질량은 대체 몇 g일까요? 가설1) 영혼의 질량은 21g?!1901년, 미국의 의사였던 던컨 맥두걸은 한 요양원에서 영혼의 질량을 재는 실험을 진행했어요. 맥두걸 박사는 사람이 죽으면 몸에서 영혼이 빠져나가고, 이 과정에서 영혼만큼의 질량이 줄어들 거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발견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공동 연구팀은 1월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2.9배이고, 중심별을 ...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미세한 변화로 대지진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와 미국 공동연구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발생한 지진파가 도착하기 전에 중력 변화가 지진계에 감지됐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속도가 가장 빠른 지진파인 ...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손상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네너드 버삭 미국 듀크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든 건 ... ...
- [과학뉴스]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곳은 어딜까.놀랍게도 ‘붉은 행성’ 화성의 경사면이다. 미국항공우 주국 (NASA) 과 미국지질조 사 국(USGS)등 공동연구팀은 화성정찰위성(MRO)의 고해상도 카메라(HiRISE)를 이용해 화성 지각의 3분의 1 깊이에 존재하는 얼음 퇴적물의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화성에 얼음 형태의 물이 있다는 사실은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었다. 해외 과학자 유입시킨 인재정책“칭화대 전자공학과 졸업생 중 3000명이나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일한다고요?” 동료 교수와 대화를 나누던 중 놀라운 이야기를 들었다. 첨단기술의 중심지인 실리콘밸리에서 활약하는 전자공학과 출신 연구자가 무려 3000여 명에 이른다는 것이었다. 단일 ... ...
- [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출전했다. 2008년 미국에서 열린 아메리카컵에 출전한 대표팀은 500달러를 주고 빌린 미국 썰매에 태극기를 붙이고 동메달을 따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 결과 2013년에는 처음으로 전용 썰매를 구입했고, 국제대회에서 최초로 우승(2인승)하는 쾌거를 거뒀다. 비록 2014년 소치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성장을 방해한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산호초를 직접 복원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미국 마이애미대 연구진은 건강한 산호를 양식하는 종묘장을 구축했다. 산호초 생태계는 일종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겪는데, 건강한 산호가 많을수록 건강한 생태계가 구축된다. 건강한 산호의 생식력이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