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계와 시간이 맞는다. 이렇게 보정하면 대부분의 상용 GPS는 30m 내외의 오차로 당신의
위치
를 알아낼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복잡한 기하학(리만의 미분기하학)을 이용해 일반상대론을 만들어냈을 때 훗날 GPS에 자신의 이론이 응용되리라고는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9 차원 공간 속의 3 차원 막에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사영적(射影的) 공리(결합 · 순서 · 연속에 관한)에 의해 성립하는 일반적 사영기하학 즉
위치
기하학에 다른 공리(평행, 합동 등에 관한)를 첨가하여 양적 개념을 만들고 이들을 합쳐서 연구하는 것은 모두 계량기하학이다전해질수용액(電解質水溶液)이 고체면이나 기름과 접촉되는 계면은 이온의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서로 다른 3가지 생물 탐사장비를 채택했다. 하나는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의 노먼 호로
위치
교수가 제작한 열분해방출 실험장비로 연대측정에 쓰이는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를 토양에 넣은 뒤 생명체가 흡수한 이후 잔류 방사선을 측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에임즈연구센터 밴스 오야마 박사가 ... ...
세레스, 카론, 제나 추가돼 12개로 늘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해왕성 궤도 바깥의 ‘카이퍼 벨트’에서 상당한 크기의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명왕성의
위치
는 다시 흔들렸다. 하지만 카이퍼 벨트에서 발견된 천체들은 명왕성보다 작았고, 명왕성은 여전히 불안한 행성의 지위를 유지했다.본격적으로 문제가 불거진 시기는 2003년이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 ...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묘사하기 위해서 실사 위에 가상으로 제작한 CG 장면을 합칠 수 있도록 카메라의 3차원
위치
를 추적하는 ‘카메라 트래킹 기술’을 쓴다.CG 기술로만 보면 ‘괴물’은 성공적이다. 전체적인 영상의 질도 뛰어나다. 감독의 연출에 따라 ‘괴물’은 잔인하게 공격하며 난폭한 모습을 보이지만 가끔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바로 수심이 된다. 수중음향이 수심을 재는 데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잠수함의
위치
를 찾거나 어디에 물고기가 많은지 찾아내고 유속을 측정하는데도 쓰인다. 심해의 오아시스 열수분출공수심 2만2000m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을까? 아니, 그런 곳에 생물이 살 수는 있는 것일까? 만약 살고 있다면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배당했다 별자리마다
위치
표시의 기준이 되는 중심별을 정해두었다중력에 의한 액체의
위치
에너지 차이와 액체 분자간의 인력으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연속해 끌어내릴 수 있는 원리다자연에 들어 있는 대칭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두 대상이 합동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무늬를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중국이나 북한에서 발해 유물을 발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체르냐치노가 중국 변경에
위치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체르냐치노의 유물 발굴을 통해 중국과 북한에 남아 있을 발해 유물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특히 이번 고분 발굴은 발해 시대의 고분으로는 최초이자 최대의 발굴이라는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연구하고 있다.자세결정이란 인공위성이 스스로 항로를 결정하고 우주공간에서 자신의
위치
와 기울기 같은 자세정보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자동차가 GPS를 이용해 스스로 경로를 결정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인공위성에서 보낸 신호가 지구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수십분. 한번 신호가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나 내줬다. 브라헤는 이곳에 ‘우라니엔보리’라는 천문대를 설립하고 항성과 행성의
위치
관측에 전념했다.근대 초기 유럽에서는 왕들이 과학자를 고용하거나 후원하는 일이 드물지 않았고, 이런 후원은 새로운 근대 과학이 태동한 이유의 하나로 꼽힌다. 예술과 과학을 가로질러 자연에 대한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