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의 겨울'은 영하 25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일어난 사풍(沙風) 관측으로 확인하고 있다. 화성에서는 반구에서 일어난 사풍이 10일이
채
못되어 반대쪽으로 그대로 이동하는 것이다.'핵의거울'의 타격에서 인류가 회복되는것은 언제쯤 일까 정확한 것은 아무도 모른다. 핵전쟁으로부터 10년 뒤를 세이건 연구그룹은 다음과 같이 추측하고 있다 ... ...
수입된 동물의 태반이 죽어간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등으로 나타났다.동물들이 이러한 질병에 결리게 되는 자세한 경로는 밝혀지지 않은
채
사료의 이상이나 관리소홀 관람객의 학대행위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동물관계자들은 전혀 근거없는 얘기라고 부인하고 있다. 그보다는 오히려 구조적으로 동물원의 동물(특히 수입동물)은 많이 죽을 수밖에 ... ...
바다밑을 정복한다 만능의 잠수로보트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뉴스의 제목을 장식했다. 인도항공의 747기가 아일랜드연안에서 3백29명의 승객을 태운
채
추락했다.이때 스카랩은 해저 1.6km에서 16km깊이의 추락예상지역을 뒤졌다. 그러다가 블랙박스에서 나오는 신호를 포착하고 다가가 카메라로 블랙박스를 찍었다. 블랙박스는 약 2.2km의 해저에 있었다.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맞고 불덩이에 휩싸인다. 그러나 가까운 곳의 다른 '스텔드'승무원은 이를 알지 못한
채
지중해에 불시착하기 위해 남쪽으로 향한다.한조각의 금속도 위험하다"당신이 레이다를 완전히 흡수할 수 있다면 당신의 RCS는 0이다"라는 31살의 MIT항공학 교수 '존한스만'의 말은 '스텔드' 수수께끼의 두번째 ... ...
우리나라에는 왜 소나무가 흔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우리나라에는 산림정책이란 게 거의 없다시피 해 대부분의 산이 무주공산(無主空山)인
채
로 버려져 있었다. 이러한 산야가 수백년 사이에 척박해지자 수분과 양분 토양에 대한 요구도가 낮은 소나무는 자연히 많아지게 마련이었다.아뭏든 이같은 환경적·역사적 요인으로 전국에 걸쳐 뿌리를 내린 ... ...
보이저2호,48억km의 여행끝에 천왕성의 신비벗겨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힘, 자전시간, 지하물질의 성분등을 알아냈다.보이저 2호는 현재 아무런 손상도 입지 않은
채
해왕성(Neptune)을 향해 가고 있으며 89년 8월에 해왕성과 만나고 서기 2010년경에는 태양계밖으로 빠져나가 영원한 항해를 하게될 것이다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진행될 위험이 전혀 없는 간염이다. 예를 들어 1백명이 걸렸다 하면 95명은 본인도 모른
채
증상없이 지나가버리고 단지 5명만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또 1982년 서울의 아파트지역을 대상으로 한 통계를 보면 15~25세 사이에서 이러한 A형간염이 자주 발생되고 있음이 관찰된 바 있다. 이러한 사실은 ... ...
생산적 발명풍토를 조성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국제적으로 국내적으로 공인받은 신발명품 및 수많은 기술들이 외화를 벌어들이지 못한
채
안타깝게 썩고 있는 실정을 정책입안자들은 알고 있는지 한번 묻고 싶은 심정이다. 첨단기술 및 각종 기술개발지원 자금 명목으로 대기업으로 부터 중소기업들에게 상당한 자금이 지급돼 그나마 다행으로 ... ...
어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된 것이다. 만일 현재 우리 한국에서 보는 각 하천이 3천만년 이전부터 각각 고립된
채
로 연결될 일이 없었다면 각 하천에는 고유종(특산종)만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실은 피라미나 메기 붕어 등이 전국 어느 하천에서도 볼 수 있고 그것들은 모두 중국에나 일본에도 ... ...
데이터베이스 이야기 이순신과 거북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아닌지, 또 데이타가 표준인지 데이터가 표준인지 잘 모르겠다. 이 말이 생긴지는 20년도
채
못된다. 듣건대 미국공군에서 쓰는 용어의 기지(base)라는 의미로 쓰였던게 최초의 모양인데 이것을 번역한다면 '자료(data)의 기지'인 셈이다. 아마도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사람들에게 공문이나 자료를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