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만드는 발명으로 특허를 얻었으며, 그로부터 훌륭한 당구공을 만들 수 있었다. 그
덕분
에 하이야트는 지금 돈으로 1억여원에 해당하는 상금을 탔다.하이야트의 발명 전에도 당구공 제조업자들은 상아로 만든 당구공에 질산셀룰로오스로 표면을 매끈하게 도장하였다. 그러나 폭발성 있는 재료로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걱정을 잊었으니 경제적 욕심은 없고 발명풍토 조성에 힘쓰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발명
덕분
에 단상에 연사로 서서 강의를 할 수 있게 됐으니 이만큼으로도 좋습니다."발명가 홍성모씨의 웃음은 스스로 고난을 이겨낸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빛나는 것이었다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맛 본' 사람이 됐다. 여기서 그는 축전지를 발명하게 된다. 이 전류를 쉽게 얻는 축전지
덕분
에 전류실험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중요한 여러가지 전기성질이 밝혀지게 된다. 가령 G.S.옴(Ohm)은 전류가 흐를 때 물질에 따라 저항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냈고, 그 후 문명발달을 이끈 여러가지 이기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부시 대통령에게 물었다. "백악관에서는 쓰레기 재활용을 하고 있나요?"오늘날 이 어린이
덕분
에 백악관에서는 쓰레기 분리수거와 재활용을 하게 되었다. 이 어린이의 한마디가 대통령의 얼굴을 뜨겁게 만들었던 것이다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떨어진 것이다. 이를테면 두 기술을 접목시켜 개발한 특수촬영시스템이 적절히 활용된
덕분
이다.현존하지 않는 공상의 이미지를 영상화할때 제일 중요한 점은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을 정도로 사실감과 현실감을 생생히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종래의 특수효과 장면들은 인위적으로 촬영을 한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위하여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는 오늘의 현실은 60년대 KIST의 성공적인 유치전략
덕분
일 것이다. 기초 연구자가 응용분야 맡기도그러나 해외두뇌의 활용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것은 비단 한국만이 아니라 개발도상국이 갖는 공통된 문제점인데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 ...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예를 들면 비행선에서의 응용(육상에서는 연료로, 하늘을 날 때는 공기보다 가벼운 성질
덕분
에 부상용 가스로)을 들 수 있다. 또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어뢰의 추진제로 쓰이기도 했다(수중에서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얻은 산소와 수소를 사용). 뿐만아니라 1950년대 말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강물을 직접 추출, 거대한 수도관을 통해서 공장지대의 공업용수로 공급한 것이다. 그
덕분
에 이제는 지하수를 뽑아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지하수면도 원래의 수준으로 회복됐다. 그러나 아직도 1년이면 몇차례씩 밀물때 물에 잠기기 때문에 베네치아의 보존작업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현재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더 사업이 번창하니 다른 제약회사에서 주목할 수 밖에. 그리고는 그 원인이 KIST
덕분
이라는 것이 알려지자 너나 할것 없이 연구소로 몰려왔다.그래서 화학연구실의 경우 금방 연구원이 40명으로 불어났고 실장은 돈방석에 앉게 됐다. 당시 연구실은 연구실장이 관리하면서 자기가 돈을 벌어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한국우주소년단 지도교사협회 소속 교사들과 많은 의견을 교환하여 온
덕분
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또한 자연스럽게 해결책을 모색하게 됐다. 이에 '중고등학교 천문학 학습의 바른 길'이라는 시리즈를 시작하려 한다.생활과 거리가 먼 학문먼저 중고등학교에서 천문학이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