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화면이 선명하고 문자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됐다.이런 초박(超薄)형 저(低)소비전력 LCD
덕분
에 오늘날 종잇장 두께의 전자계산기가 출현하게 됐고 기존의 전자계산기보다 디스플레이가 크고 화면이 선명하면서도 가벼운 전자수첩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LCD가 넓은 화면과 다양한 문자표현을 가능하게 ... ...
살아있는 과학퀴즈 정전기의 신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전자총에서 날아온 전자들이 많이 달라 붙어 있기 때문이다. 이 먼지들은 정전기유도
덕분
에 잘 달라 붙어 있게 된다. 이는 책받침에 묻은 먼지가 잘 떨어지지 않는 이유와 같다.정전기 유도정전기유도란 대전체를 도체나 부도체에 가까이 대었을 때 대전체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가 띤 전하와 반대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나의 생활을 지배해서는 안된다는 신조를 실천에 옮기는 연습을 또한 하고 있었다.
덕분
에 나는 우울했던 기억들을 지우고도 남을 소중한 체험을 많이 했던 것 같다. 마음맞은 친구들과의 만남, 우정의 깊이를 배워가던 시간들, 틈만 나면 호수로 숲으로 캠핑을 다니면서 알게된 자연의 냄새와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인간이 짠 프로그램—당연히 여기에는 그것을 직성한 사람의 관념과 가치관이 반영된다-
덕분
이다. 컴퓨터 자체가 판단한다든가 추론한다든가 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강한 AI」와「약한 AI」1950년 초창기 컴퓨터연구자의 한사람이었던 튜링은 '컴퓨터에 지능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재미있는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국민학교 다니는 아들 딸들이 나비를 좋아하고, 지나가던 노인네로부터 "당신
덕분
에 60평생 처음으로 나비알 구경했다"는 소리를 들을 때의 기쁨 때문에 앞으로 계속 셔터를 눌러댈 작정이다. 집 주위에다 워낙 꽃을 많이 심어놔 나비들이 이씨 집 주위로 한번 날아오면 한시간 이상은 체류한다. ... ...
3. 미사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해 낸다.현대미사일은 로켓의 추진력
덕분
에 수백에서 수천㎞ 떨어진 지점의 목표물도 공격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과거의 포탄을 쏘아올리는 방식대로라면 사정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포신을 길게 하는 수밖에 없는데 목표지점이 수백㎞만 되도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유효하다. 보트사고로 다리를 잃은 전직 댄스강사 홀리 하워드는 촉감시스템
덕분
에 두 발자국만 옮기면 자신의 발이 어디 있는가를 알아낼 수 있게 되었다고 고마워 한다. 촉감시스템이 균형잡기에 편리하다는 점은 당뇨병 환자에게도 희소식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균형감각이 없어져 제대로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공업화, 인구집중 등이 없어 훼손되지 않고 천연의 상태로 보존돼 왔습니다.
덕분
에 강원도 고성군 고진동 지역의 산양 서식지 대성동에서 발견된 재두루미 두루미 월동지 등 멸종위기에 놓인 동물들의 보금자리가 비무장지대를 따라 자연스럽게 마련됐습니다.비무장지대 전부가 대상이 될 수는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벌어 사는 길을 택하는 것이다. 그들이 자랑하는 자본주의 논리를 대변한다고나 할까.
덕분
에 인력이 필요한 화학 물리 수학 등의 분야에서는 장학금을 주어가며 우수한 인력을 외국(주로 한국 중국 인도 등)에서 구하려고 애쓰고 있다. 특이한 것은 유학생 중에 일본인은 거의 볼 수 없다는 점이다. ... ...
로봇 곤충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대가인 마빈 민스키씨
덕분
에 MIT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로봇기술발전센터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로봇분야를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는 컴퓨터공학과 교수인 호주출신 로드니 브룩스씨도 MIT에 있다. 브룩스씨는 아주 작은 것들을 머리속에 떠올리고 있다.소설이나 영상매체속의 과학공상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