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산들산들한 바람이 마음에까지 부는 싱그러운 계절 봄이다. 봄바람 난 처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봄이 되면 이성을 그리는 마음이 커지기 마련이다. 결혼식장마다 넘치는 결혼 행렬을 봐도 ... 똑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인간도 동물의 한 종이고 보면 같은 공식 안에 들어있는
셈
이다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정도가 걸린다. 때문에 이르면 4월 중순부터는 연못에서 노니는 올챙이를 볼 수 있는
셈
이다.우주에서도 올챙이를 만날 수 있다면 억지일까. 지난해 4월말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의 영상을 살펴보자. 허블우주망원경에 새로 장착된 첨단관측카메라(ACS)의 위력을 유감없이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적색광 수용체(피토크롬)가 존재한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식물은 세 종류의 눈이 있는
셈
이다. 이 가운데 광주기 인식에 주로 사용되는 광수용체가 바로 피토크롬이다. 피토크롬도 인간의 광수용체인 로돕신처럼 단백질에 발색단이 결합된 형태의 광수용체다.피토크롬이 빛을 받으면 발색단의 ... ...
먼 지인 통해야 직장 구하기 쉽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충무로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었다. 영화에서 조연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밝혀진
셈
이다. 물론 충무로의 중앙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배우들도 있다. 국민 배우로 불리는 안성기가 8등을 차지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충무로의 박용팔 게임 또는 안성기 게임을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태규는 일본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인물이자 화학부문의 1호 박사였던
셈
이다. 그러나 이원철은 식민지시기에 ‘조선학계의 자랑’ 이태규에 비해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일본에서 유학한 이태규에 비해 이원철은 일제 총독부가 차별하던 외국유학 출신인데다가 경력도 덜 화려했기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유인 우주비행을 시도했다. 무모할 만큼 과감한 시도가 놀라운 성공으로 이어졌던
셈
이다.미국은 1959년 12월부터 4마리의 침팬지를 먼저 우주로 보냈다. 동물 우주비행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자 1961년에는 예비시험비행인 2번의 유인 준궤도비행을 시도했다. 이 비행에도 성공하자 마침내 ... ...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미생물 게놈 월드컵 4강 진입의 사령탑 오태광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중량을 합치면 약 3조t인데, 그 중 60%가 바로 미생물이죠. 무궁무진한 연구재료가 있는
셈
입니다.”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하나인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을 맡고 있는 오태광 단장은 기자에게 대뜸 흙을 내보이며 이렇게 말한다. 그동안 미생물은 김치를 발효시키고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일을 막기 위해 작은 산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기도 했다. 그는 진보적인 환경운동가인
셈
이다.장 교수에 대해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온생명’이론이다. 이는 그가 생명에 관해 독자적으로 정립한 이론이다. 그의 영역은 동양철학까지 뻗어나간다. 지난해 7월 장 교수는 동양철학의 대표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장치, 즉 변환기다 생체에 있는 각종 수용체분자와 뉴런은 바이오트랜스듀서인
셈
이다여러개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분자 수십-수백 개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단백질보다는 구조가 단순해 현재 나노구조물의 기본단위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근육에는 속근섬유, 중간근섬유, 지근섬유 등 세 종류가 있다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있다.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엄청난 ‘생명공학적 노다지’가 우리 앞에 놓인
셈
이다.그렇다면 어떻게 배양불가능한 미생물 유전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까? 현재 과학자들은 ‘메타게놈’(metagenome) 이라는 접근을 통해 새로운 질적 도약을 꿈꾸고 있다.게놈과 메타게놈현대는 생명공학의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