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있다.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엄청난 ‘생명공학적 노다지’가 우리 앞에 놓인
셈
이다.그렇다면 어떻게 배양불가능한 미생물 유전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까? 현재 과학자들은 ‘메타게놈’(metagenome) 이라는 접근을 통해 새로운 질적 도약을 꿈꾸고 있다.게놈과 메타게놈현대는 생명공학의 ... ...
꽃 피게 만드는 유전자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반면, FLC는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FLC는 사실상 개화억제자인
셈
이다. FLC를 제외한 나머지 유전자들은 그 발현량이 증가하면 개화가 촉진되고, 발현량이 감소하면 개화가 지연된다. 반면 FLC의 경우에는 발현량이 증가하면 개화가 지연되고, 발현량이 감소하면 개화가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모든 뇌 부위가 다 성숙돼 회로가 치밀하게 잘 만들어진 어른의 뇌처럼 가르쳐 주는
셈
이다.신경세포 사이의 회로가 아직 성숙되지 않은 아이에게 과도한 조기교육을 시키면 뇌에 손상이 일어난다. 전선이 엉성하거나 가늘게 연결돼 있는 경우 과도한 전류를 흘려 보내면 과부하 때문에 불이 ... ...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미생물 게놈 월드컵 4강 진입의 사령탑 오태광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중량을 합치면 약 3조t인데, 그 중 60%가 바로 미생물이죠. 무궁무진한 연구재료가 있는
셈
입니다.”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하나인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을 맡고 있는 오태광 단장은 기자에게 대뜸 흙을 내보이며 이렇게 말한다. 그동안 미생물은 김치를 발효시키고 ... ...
먼 지인 통해야 직장 구하기 쉽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충무로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었다. 영화에서 조연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밝혀진
셈
이다. 물론 충무로의 중앙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배우들도 있다. 국민 배우로 불리는 안성기가 8등을 차지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충무로의 박용팔 게임 또는 안성기 게임을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부피로 표시한다 가령 이소옥탄이 90%이고 n─헵탄이 10%인 가솔린의 옥탄가는 90인
셈
이다 현재 시판중인 가솔린은 자동차가 저속으로 달릴 때를 기준으로 하여 옥탄가 92와 96 등이 있다데이터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출현한 정보망의 한 형태 서류 등 정보의 교환이 빈번한 기업이나 정부기관 등이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고개를 돌려 열정적인 키스를 하고 있습니다. 예술이 과학에 앞서 자연의 법칙을 파악한
셈
이죠.조각상을 앞세워 인체의 비대칭성을 연구한 논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1976년 2월 5일자 ‘네이처’에는 영국 퀸엘리자베스 병원 신경외과의 맥마누스 박사의 한쪽 짜리 논문이 실렸는데, 논문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에이즈 사건은 이러한 계통유전학 분석의 효과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계기가 된
셈
이다.그러나 한편에서는 계통유전학 분석이 남용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전염병이 어디서 시작됐는지를 알게 됐을 때 사람들은 고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처음 병을 얻게 된 사람이나 지역을 ... ...
패스트푸드점 단골 X 신드롬 주의해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의미에서다. 그만큼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셈
이다.사회적으로 유행어가 돼버린 신드롬이 본연의 뜻인 병적 징후로서도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최근 다양한 신드롬이 등장해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신드롬들은 특정 증세로 뭉뚱그려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많고 장난기가 다분하다고 한다. 복제를 한다고 해서 겉모양이 꼭 같은 것은 아닌
셈
이다.세계 최초의 장기이식용 복제돼지도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합작품이다. 강원대 수의학과 정희태 교수,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미주리대 연구원 박광욱 박사 등 한국 과학자 3명과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