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분석해 질병을 알아내려면 혈액 같은 유체의 움직임을 잘 알아야 한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로트카-볼테라 방정식 외에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함께 사용한다. 영국의 수학자 조지 가브리엘 스톡스가 물의 흐름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만든 식이다. 여기에 프랑스의 물리학자 클로드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적도 있었다.최 편집장은 “편집자가 어렵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독자 역시 지적해 오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의견을 참고해서 읽는 사람을 더 배려한 과학책을 만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독자와 함께 과학책이라는 척박한 분야를 함께 개척해 간다는 건 신생 출판사 MID에게는 더없이 의미 있는 ...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인정하는 만큼 단점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도 더 강했다. 예컨대 성적이 낮게 나왔을 경우 자존감을 높이는 대응을 한 사람은 ‘내가 못한 게 아니라 시험문제가 유독 어려웠던 거야’ 같은 정신 승일러스트│더미리를 통해 위안을 얻고 넘어간다. 자신에 대해 너그럽게 생각해본 사람은 다음에는 ... ...
- 앵두 VS 버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놀이터에서 나무에 맺힌 새빨갛고 동그란 열매를 보았어요! 무척 맛있어 보여서 따먹으려고 하는데 엄마가 앵두가 아니라 버찌라고 하셨어요. 빨갛고 동글동글한 모습이 ... 맛이 시고 달지 않아 생과일로 먹으면 맛이 없어요. 그래서 잼이나 젤리, 주스 등으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아요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다.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액면 체계는 무엇일까?탐욕 알고리즘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0원부터 990원까지의 범위 안에서 각각의 금액을 만드는 데 필요한 동전의 최소 개수를 아래 그래프로 나타냈다. 사실상 거의 쓰지 않는 1원과 5원짜리 동전은 생략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1, 5] 체계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쉽지 않다. 확인해 볼 수 있는 기본 주장, 가령 ‘지금 밖에 비가 오고 있다’ 같은 경우는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논리를 조금이라도 길게 전개하는 상황이면 과정의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을 수 없다. 서양사상사에서는 이런 문제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처음으로 체계화됐다.그는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같은 현실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 사실성을 살리려다 장면 자체가 조잡해지는 경우도 있으니 잘 판단해야 합니다. 감동, 사실성, 현실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장면을 선정해야 하죠.특별전시관 둘러보기!‘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이 열린 곳은 원래 전시관이 아닌 쇼핑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배신하면 배신한 쪽이 5점을 얻지만, 협력한 사람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둘 다 배신할 경우 모두 1점을 얻는다. 먼저 팃포탯 전략을 사용하는 A와 배신자 C의 게임을 살펴보자. 첫 번째 게임에서 A와 C는 협력하기로 했지만 C는 곧바로 배신한다. 따라서 A는 0점, C는 5점을 얻는다. 이제 둘의 신뢰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수학적으로 개념을 정의한 뒤, 기호의 변천 과정을 거쳐 현대에 이르렀다. 그러나 무한의 경우에는 그 순서가 정반대다. 기호 ∞가 먼저 자리를 잡은 다음, 약 200년이 지난 뒤에야 무한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었던 것이다.“수학의 본질은 자유에 있다”고 주장한 칸토어의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운전이 차단돼 사고의 위험이 없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초고온 플라스마의 경우, 만에 하나 돌발 상황이 발생해도 플라스마 특유의 불안정한 특성 때문에 바로 소멸되고, 폭발위험이 없다.에너지 효율도 높다. 1g의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 시간당 10만kW의 전기를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