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25건 검색되었습니다.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인간의 지능과 인공 지능을 비교하며 컴퓨터가 지능을 가진다는 것의 의미를 정리한다.
결국
이 책은 인공 지능 연구가 ‘위험한 불장난’이 아닌 엄연히 과학적 탐구 대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아! 이게 다 호르몬 때문이었어? (안철우 著, 지식과감성 刊) 호르몬이라는 용어는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하지만 쿠퍼는 이미 지나간 일을 그가 의도했든, 그렇지 않든 정확히 재현함으로써
결국
과거는 바뀌지 않는다. 이 때문에 미래의 존재가 과거의 사건에 개입함으로써 인과가 뒤바뀌는 ‘시간 패러독스’ 역시 일어나지 않는다. 쿠퍼는 아멜리아(앤 해서웨이)를 구하기 위해 블랙홀 속으로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끊어버린다. 하지만 와일드는 좌절한 호킹 박사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결혼을 결심하고,
결국
두 사람은 결혼에 골인한다. 이후 호킹 박사는 아내의 보살핌을 받으며 학업에 매진한 결과 시간과 공간의 근원을 설명하는 ‘호킹-펜로즈 특이점 이론’을 완성하고 이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성체줄기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이 분자를 만나면 빛을 내도록 염색한 뒤 슈퍼바이오-전자현미경으로 관측한 것.
결국
이들 분자가 성체줄기세포를 특이적으로 표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허 연구원은 “몸속에 극소수로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기술을 개발한 만큼 성체줄기세포를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골수에서 줄기세포가 오지 못하게 하면 흉선에 있던 줄기세포가 한 동안 역할을 하지만
결국
에는 암세포로 바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오른쪽). - 네이처 제공 연구자들은 골수에서 흉선으로 줄기세포가 가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흉선에 있는 줄기세포들이 분열하면서 여전히 T세포를 ... ...
쥐 세포나 코끼리 세포나 평균크기는 0.001mm
2014.12.08
지구 중력 이상으로 액틴 그물에 힘을 가하자 점차 힘의 방향을 따라 핵이 찌그러지더니
결국
파괴됐다. 만약 세포가 더 커지고 무게가 늘어 중력의 영향을 더 받게 된다면 세포핵의 구조가 먼저 바뀌어야 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액틴 그물이 중력으로부터 세포의 구조가 부서지지 않도록 ... ...
한국판 스미스소니언박물관, 민자연사연구소
2014.12.04
해서라도 살까, 아니면 나중에 좀 더 좋은 표본을 더 좋은 가격으로 살 수 있진 않을까.
결국
다음에 사자고 스스로를 설득했죠. 하지만 그 이후로 그보다 더 아름다운 표본을 본 적이 없어요. 수집가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인연’이라는 걸 뒤늦게 다시 깨달았죠.” 이 소장이 꼽는 ... ...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이 때부터 이공계 출신 문화예술가의 싹이 조금씩 자라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결국
미대에 가지 못했어요. 경제적인 문제도 있었고, 불투명한 미래를 걱정한 부모님의 반대도 컸죠. 교사가 되라는 권유도 있었지만 전 생각이 달랐어요. 교사나 의사는 특별한 사명감을 가진 사람이 해야 한다고 ... ...
영국엔 테크시티, 한국엔 판교테크노밸리
동아일보
l
2014.12.02
연구개발(R&D)센터가 완공돼 입주를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판교에서 성장한 ICT 기업들이
결국
한국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릴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온기운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 “판교테크노밸리는 짧은 시간 안에 국내 대표적인 벤처 단지로 성장하고 있다”며 “다만 벤처들이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현상을 또 발견했다. 손 대신 집게로 땅콩을 집을 때는 뉴런이 반응하지 않았던 것.
결국
이 뉴런은 스스로 행동하거나 자신과 같은 종 또는 비슷한 종이 행동하는 걸 볼 때는 작동하지만 무생물이 같은 동작을 할 때는 꺼져있었다. 리촐라티 박사는 신경과학분야 저널인 ‘브레인’에 이 결과를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