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25건 검색되었습니다.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전자기파가 가해지면 세포 속 DNA가 감싸고 있는 ‘히스톤’이란 단백질에 변화가 생겨
결국
세포의 운명이 바뀌었다. 지구에 사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들은 지구가 만드는 자기장(전자기파)에 24시간 노출돼 있다. 이 전자기파는 우리의 DNA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일까. 연구팀은 지구 자기장을 상쇄한 ... ...
가속기 핵심장치 ‘방사선 발생장치’ 국내기술로 개발
2014.10.01
주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방사선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도 성공했다.
결국
강력한 자기장을 유지하면서도 실험의 안정성과 정밀도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방사선 장치 소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연 양자빔 기반 방사선연구센터 정영욱 부센터장은 “이 기술은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않는다. 마찰계수가 0.066일 때 각도의 한계는 3.8도로 15도일 때는 수평성분의 힘이 더 커
결국
앞으로 쭉 미끄러지게 된다. 겨울에 빙판길을 걸을 때 본능적으로 보폭을 줄이는 것도 수평성분의 힘을 마찰력보다 작게 해 미끄러지지 않기 위함이다. ●껍질 으깨지며 과립 젤이 균일한 졸이 돼 ... ...
해수면 상승 앞당기는 건 ‘그린랜드 빙하’
2014.09.29
빙하 표면의 물이 밑으로 이동해서 퇴적암층에 흡수되면서 표면이 더 미끄러워지고,
결국
빙하 이동속도가 더 빨라졌다는 것이다. 영국 애버리스트위스대 폴 크리스토퍼센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그린란드 빙하층이 기후변화뿐 아니라 폭우나 열풍 같은 극한의 기상 현상에도 취약하다는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갖고 있지만 사체가 된 뒤에는 대기와 더 이상 탄소교류를 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14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탄소14의 비율을 측정하면 그 ... ...
전략 짜는 뇌 부위 따로 있다
2014.09.21
때부터 부전공으로 심리학을 공부했다. 사람의 의사결정 과정에 흥미를 느낀 이 교수는
결국
신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예일대 의대 교수로 재직하며 뇌과학과 관련된 벤처기업 ‘뉴로게이저’도 운영하고 있다. ... ...
영화 ‘제보자’로 본 ‘줄기세포 3대 스캔들’ 제보자 집중 분석
2014.09.19
논문 속 이미지가 부정하게 사용됐다는 문제를 제기하면서 의혹이 본격화됐다.
결국
제보자의 말이 사실로 밝혀지며 이 스캔들은 국내 연구윤리의 필요성을 알린 대표적 사례로 남게 됐다. ●강수경 스캔들: 익명의 제보자 2012년 강수경 서울대 수의대 교수의 줄기세포 스캔들도 익명의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데이터 조작에 대한 의심이 커졌고 급기야는 리켄이 자체조사에 들어가기에 이르렀다.
결국
리켄은 문제를 인정해 논문을 철회하기로 했지만 오보카타 박사는 기자회견에서 지엽적으로는 약간의 실수가 있었다고 인정했지만 본질적으로는 실험이 맞다고 결벽을 주장하며 눈물을 흘렸다. 보통 ... ...
승부차기에서는 앞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
2014.09.11
밝혀졌다. 해가드 교수는 "키커는 자신의 의도를 감추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골키퍼는
결국
단순한 추측을 하게 될 수밖에 없다"며, "키커들은 도박사의 오류를 이용하여, 골키퍼들이 기대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을 차면 더 많은 골을 넣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과학으로 소통하는 세상 꿈꿔요”
2014.09.10
기자 제공 “어려운 과학을 좀 더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했어요.
결국
재미있는 일화로 풀면 좋겠다고 결론내렸죠.” 3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새 책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의 저자 김유항, 황진명 인하대 명예교수 부부를 만났다. 김 교수는 1972년부터 인하대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