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형태로 변형시키지만, 워터마킹에서는 아무런 상관없는 데이터 내에 중요한 정보를 숨
길
수 있다. 스테가노그래피의 예를 떠올려보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이뿐인가. 위조와 변형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즉 암호기술이 적용된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그 암호를 풀고 나서 데이터를 변형시키면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많이 들기 때문에 매출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기 보다 외부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는
길
을 찾았다”라고 말했다. 인바이오넷이 지난해 5월 1백80억원이라는, 벤처로서는 적지 않은 돈으로 한효과학기술원을 인수할 수 있었던 것도 4월 액면가 5백원의 1백20배인 6만원에 발행한 해외전환사채의 성공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역시 방황의 시절을 보낸 것이다. 그가 연설에서 강조한 것은‘여러 인생의 방황
길
에서 자신의 열정을 따르라’는 것. 젊은이에게 참으로 귀감이 되는 말이었다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리고 그 기능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면 인류가 생명현상에 다가갈 수 있는 지름
길
을 발견하는 것과 같다.즉 특정한 기능을 갖는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있고 동시에 그 구조를 만들어내는 1차원 아미노산 사슬을 합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생명현상과 관련된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디자인 할 수 ... ...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총 응답자 중 학생부 수상자가 47명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상당수가 과학기술과 무관한
길
을 걸어가고 있는 셈이다.전국과학전람회 계기로 기생충 연구그러나 성공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육교수는 제1회 대통령상의 영예를 얻은 임한종 박사(69)를 소개했다. 전국과학전람회에 참가할 당시 ... ...
로봇 개념 창시한 신 헤파이스토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경력이 있는 헤파이스토스는 의붓아버지 앞에서 말참견하다가 또 한차례 제우스의 발
길
에 차여 인간세상으로 떨어집니다. 이때 헤파이스토스는 다리가 부러지지요. 하지만 손재주 좋은 헤파이스토스는 황금으로 가짜 다리를 만들어 달았는데, 어찌나 정교하게 만들었는지 어떤 신도 그가 의족을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들지 않을까요? ^^ 농담이구요. 착한사람에게는 득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벌을 주는 홍
길
동같은 역할을 하고 싶어요.성래_ 제가 하고 싶은 얘기는 앞에서 다 하신 것 같아요. 목욕탕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저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욕망보다 한명을 찍어서 쫓아다니고 싶어요. 목욕탕 같은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튀어나오지 않는다는 점을 뜻한다.융통성 상관없는 것을 연관짓는다인적이 드문 시골
길
을 어두운 밤에 자동차를 타고 가다 갑자기 헤드라이트의 퓨즈가 끊어졌다고 하자. 갈아끼울 여분의 퓨즈가 없고 가까운 곳에 퓨즈 파는 가게도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침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까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 있다. 덩치는 훨씬 크지만 지구의 두배나 되는 빠른 속도로 자전하기 때문에 옆으로
길
쭉한 모습을 한다. 적도 방향 지름과 극 방향 지름의 비율이 10:9 정도이다. 표면에는 목성보다 뚜렷하지 않지만 비슷한 형태의 어두운 줄무늬와 밝은 대가 있으며 흰색의 소용돌이도 나타난다.토성의 고리가 ... ...
음식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와 집착 301 302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과도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런 생물학적인 연구는 거식증에 대한 약물 치료의
길
을 열어줄 수도 있어 약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구역질 날 정도로 먹는 지경폭식증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무조건 많이 먹는 ‘비만’과 자주 혼동되는데, 많이 먹는다고 해서 모두 폭식증은 아니다.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