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복잡하게 얽힌 매듭이 풀릴 것이며, 유전자의 언어를 인간이 이해하기까지는 아직도 먼 길을 가야한다”고 말했다.생거 센터 (www.sanger.ac.uk)1998년 워싱턴대 게놈 연구팀과 함께 선충(C. elegans)의 염기 10억개의 서열을 완성했다. 이 자료는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늘려 사용하던 밤을 새던 지키라고 해요. 그것이 결국 자신의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죠.” 물론 힘들고 어렵다는 것을 안다고 덧붙인다. 정기준박사는 “다른 실험실에 비해 일이 많지만 학생들의 목표와 선생님의 목표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아요. 그래서 고생을 감수하는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유전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했다.1977년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알란 맥삼과 웰터 길버트,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거(왼쪽)는 DNA 염기 배열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게놈 연구가 본궤도에 오른 것이다. 한편 바이러스의 DNA가 최초로 해독됐다.1984년 미국 시터사에 있던 캐리 ... ...
- 킥보드의 물리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멈추지 못하고 미끄러져서 결국 바퀴가 땅에서 어느 정도 굴러가게 돼,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그렇다면 앞바퀴에 제동장치를 달면 어떨까. 실제로 앞바퀴에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 킥보드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발로 제동장치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자전거처럼 핸들에 장착된 ...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만약 1/2인치 CCD에서 최대 해상도가 2천48×1천5백36을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라면 대각선 길이가 1/2(12.7mm)인치인 사각형 모양의 CCD에 가로 2천48개, 세로 1천5백36개의 화소가 배열돼 전체 화소수가 약 3백만개(2천48×1천5백36=3백14만5천7백28)라는 뜻이다.따라서 일반 카메라와 비교할 때 렌즈나 셔터 ...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단서를 제공한다. 그는 종종 어머니를 연상하는 이미지를 만나게 되면 발작을 일으킨다. 길을 걷다가 어머니를 닮은 여인을 보면 이내 현기증을 느낀다. 또 영화는 그가 과도한 스트레스와 절망적인 현실에서 도망치고 싶을 때 어김없이 잠에 빠지는 모습을 보여준다.그는 기면 발작이 제공하는 꿈 ...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넘나드는 과학자로 성장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1931년 대학 졸업 후 생물학도의 길에서 방황을 했으나, 몇몇 선배들의 영향을 받아 다시 생물학 연구에 몰두하게 됐다. 1936년 록펠러재단 장학금을 받아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유학했는데, 이때 그는 유전학의 진수를 경험하고 대가들을 만날 수 ...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또는 우주왕복선이 필요에 따라 결합됐다.미르 우주정거장은 각 모듈이 지름 3.5m, 길이 10m 내외의 원통형이고 무게가 20t 이내로 만들어져 프로톤로켓으로 발사돼 지상 3백50km의 우주에서 도킹해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건설됐다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확인절차를 거쳐 카드결제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훨씬 안심하고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홍채 인식기술의 개발에 관심이 높다. 손상되기 쉬운 지문에 비해 정보가 훨씬 안정적이기 때문이다.또 PDA(개인휴대단말기), 휴대폰 등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가 생활에 파고들면서 ...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있다.그러나 내 차선이 남의 차선보다 빠르다고 느낀다고 조급해서 옆 차선으로 옮길 필요가 없다. 오히려 갑작스런 무리한 차선 변경은 교통 체증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운전자가 이런 교통 흐름의 성질을 앎으로써 조금이나마 체증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