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운동효과는 만점이라는게 주변의 평. 체감형 게임기를 1시간 이용했을 경우 약 600kcal의
에너지
가 소모된다. 현재 플레이스테이션 뿐만 아니라 엑스박스와 일반 컴퓨터용 제품이 함께 출시돼 있다.스스로 깨끗해지는 수족관 _ 아쿠아블 어느날 아침 희멀건 배를 드러내고 둥둥 떠오른 물고기들.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단맛을 내기 위해 액상과당을 많이 사용한다. 문제는 여기 있다.체내에서는 모든
에너지
원이 단당류인 포도당으로 바뀐다. 단당류는 쉽게 말해 당이 이미 쪼개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체내에 들어오면 바로 흡수된다. TEF가 따로 필요하지 않다.반면 다당류는 당이 여러 개 붙어 있기 때문에 체내에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아킬레스건을 비롯해 다리의 힘줄 배치를 보면 스프링 역할을 해 매번 발을 뻗을 때마다
에너지
의 절반을 비축해 다음 번에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인간의 통통한 엉덩이 모양을 만들어주는 큰볼기근은 걸을 때는 가만히 있지만 달릴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들은 “장거리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반물질은 거대한 가속기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반물질이 물질과 만나면 막대한
에너지
를 내면서 사라져버린다. 이런 까닭에 소설에서 반물질 폭탄이 등장한 것.그렇다면 실제로 CERN은 반물질 폭탄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아이마 소장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소설에서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즉 엄밀하게 제어된 화학 반응을 통해 얻은 화학
에너지
또는 빛
에너지
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만 톱니바퀴가 회전하게 디자인된 것이다. 이처럼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톱니바퀴를 래칫(ratchet)이라고 한다.한편 분자톱니바퀴의 경우에는 한개의 분자가 기계의 기능을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주로 탄수화물을 태운다. 그러나 이 거리를 넘어서면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많이 태워
에너지
를 얻는 효율이 높은 쪽이 유리하다. 몸 안에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더 많이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장거리에서 여자가 남자 앞설 수도 국민대 이대택 교수(체육학과)는 “1996년 남아프리카에서 이뤄진 한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거대한 도미노로 재탄생 시킨 것.운동
에너지
를 위치
에너지
로, 위치
에너지
를 다시 운동
에너지
로 딱딱 변환시켜 도미노를 완성시킨 것도 놀랍지만 테니스 공, 바람개비, 화약, 풍선 등 갖가지 생활 소품을 이용한 어린이들의 상상력은 끝이 없었다.이 날 개막식에는 무려 2만5천여명에 달하는 인파가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오른쪽 아래 면으로 반사돼 나오는데, 입사각을 변화시키다보면 특정한 각도에서 빛
에너지
가 금박막에 흡수돼 반사광의 세기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그런데 금박막 위의 후각수용체분자가 냄새분자와 결합하면, 반사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특정 입사각의 각도가 변한다. 따라서 이를 측정해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빨아 먹는다. ‘체외소화’ 라는 이 과정을 통해 거미는 매우 짧은 시간에 대단히 많은
에너지
를 효과적으로 섭취하게 된다.연구팀은 거미의 몸에서 분비되는 소화액 외에도 우리 몸안의 장내미생물들처럼 소화기관에 살고 있는 공생미생물이 만드는 소화액은 없는지를 탐색했다. 거미 몸 안을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원자에 수소원자를 충돌시키면 튕겨나온다. 이때 어느 층에 부딪히느냐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
가 다르다. 이를 측정하면 수소원자가 어디서 튕겨나왔는지, 원자들이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해 문 박사는 수nm 두께의 극히 얇은 재료 표면의 원자 배열이나 구조까지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