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폭약의 한 점에 열 · 충격 등 어떤 외적
에너지
를 주어 폭발반응을 일으키게 하면 폭굉(爆轟)반응을 일으킨다 스테롤의 하나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은 녹는점 150℃, 고유광회전도 [α]D=-114° 콜레스테롤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또 돼지피부의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용해 음식을 데우는 다른 제품과 달리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로 분자를 진동시켜
에너지
를 가한다. 물체 전체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급작스런 상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생활 주변에서 익히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이 잇따라 폭발하자 소비자들 사이엔 불안감과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 ...
최첨단 연대측정법 OLS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시료의 루미네선스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에서 흡수되는
에너지
가 빛이라는 의미다. OSL을 이용하면 수년에서 수십만년까지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신두리 해안사구의 경우 해안에서 3백m 가량 떨어진 사구는 약 50년 전에, 해안가 바로 앞 사구는 약 20년 전에 퇴적된 ... ...
열대지방에서 동면하는 포유류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시기는 비가 거의 오지 않는 혹독한 건기에 해당한다” 며 “따라서 안전한 곳에서 몸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물과 먹이가 부족한 시기를 버텨내는 방식으로 진화한 것 같다” 고 말했다 ... ...
시금치로 태양전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층 사이에 넣어 빛을 쬐어 전기를 생산했다. 이 전지는 최대 21일간 작동했으며 흡수한 빛
에너지
를 전기로 바꾸는 효율은 12% 정도였다. 연구자들은 전환효율을 현재의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높은 20%까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잎이 무성한 시금치 같은 야채가 값싸고 효율적인 ... ...
남자는 여자보다 일찍 죽을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포유류에서 암컷은 자녀를 낳고 키우는데 많은
에너지
를 소모하는 반면 수컷은 자신의 유전자만 전달할 뿐 양육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컷은 가능한 한 많은 암컷과 섹스를 하려 하고, 암컷을 차지하려고 서로 경쟁하는 성향을 지닌다. 즉 암컷은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에너지
준위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해
에너지
간격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고려청자는
에너지
간격이 큰 반도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전기저항과 홀(Hall) 상수를 측정해 고려청자는 n형 반도체라는 특징도 확인했다.이에 대해 김 교수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반도체는 유독성환경에 노출될 ... ...
물에어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여름철에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열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남는
에너지
자원을 냉방에 재활용하는 셈이다.현재 물 에어컨은 위젠 글로벌로 기술이전돼 상업화를 위한 연구와 대량생산을 위한 추가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박사는 “올해 11월경 출시 예정인 물 에어컨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일어나며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이런 증상이 가속화된다는 것이었다.원래 산화는 동물이
에너지
를 얻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그 반응 중에 필연적으로 유해산소가 발생하는데, 유해산소의 양이 너무 많으면 우리 몸의 항산화시스템이 이를 제대로 처리해주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 ...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용량과
에너지
밀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그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30% 가량 높고, 용량도 1백배 이상 되는 새로운 방식의 리튬이온폴리머전지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다.1997년 개발에 뛰어든 후 4년 만의 성과였다. 그의 뚝심과 고집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