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04
어떤 사건들을 겪게 될까? 판의 움직임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에서 미래의
모습
을 예측해보자.한반도에 닥칠 첫번째 대형사건은 1천3백만년 후 태평양판 위에 돌출된 거대해산이 일본열도와 충돌하면서 터질 전망이다. 약 1억2천만년 전 태평양의 한복판에는 거대한 맨틀이 솟아올라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4
모습
, 용광로에 구멍을 내고 녹은 쇳물을 도가니에 받는
모습
, 거푸집에 부어 틀을 짜는
모습
등 주물제작의 전과정을 담았다. 기산의 풍속화에 담긴 주물 제작과정은 현재까지도 고스란히 전승돼 내려온다. 땀과 지혜를 버무린 솥 제작과정 우리겨레가 오래전부터 뛰어난 주조기술과 제작 경험을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04
‘별이 빛나는 밤’은 광기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작품이다. 미친 듯이 너울거리는 밤하늘에 소용돌이치는 별빛이 대담하게 표현된 점이 인상적이다. 미국의 ... 금세기말까지 계속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앞으로 자연의 ‘행위 예술’이 어떤
모습
을 빚어낼지 궁금하다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04
1970년대 말 ‘마이아사우라’라는 초식공룡이 둥지를 만들어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르는
모습
의 화석을 최초로 발견한 인물이다.그래서인지 쥬라기 공원에서는 공룡이 자식사랑으로 가득한 동물로 그려진다. 2편에서 티라노사우루스가 새끼를 찾아 섬 전체를 뒤지고 3편에서 벨로시랩터가 알을 찾아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04
10여년간 중국대륙의 8억년 전후의 고지자기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로디니아의 복원된
모습
이 조금씩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는 불행하게도 중생대의 극심한 변동으로 인해 고지도 복원에 긴요한 자료들을 얻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의 땅이 30억년이나 되는 역사를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04
땅은 동해보다 훨씬 역사가 깊지만 오늘날과 같은 서해바다는 동해보다 늦게 지금의
모습
이 됐기 때문이다.서해 밑바닥의 땅을 파보면 최소한 1억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부터 암석이 나온다. 현재 당시는 바다가 아닌 호수가 있는 육지였다. 이후 서해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04
관한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이 커튼을 젖히면 바로 눈앞에 여러 마리의 고릴라가 노는
모습
을 볼 수 있다. 이런 체험을 통해 관람객들이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이처럼 단순히 동물을 전시하는 것에서 동물이 살아가는 자연환경을 그대로 다 옮겨 놓는 형태로 전시 개념이 바뀌고 ...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04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때 혜성의 밝기는 2등급대에 달하며 초저녁 서쪽하늘에서 그
모습
을 드러낼 것이다. 또한 혜성의 꼬리는 1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5월 하순에 접어들면서 이 혜성은 급속도로 어두워지기 시작해 4등급대가 된다. 그러므로 니트혜성의 최고 관측 적기는 서쪽하늘에 달이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04
낭림지괴와 영남지괴 사이에 끼게 된다. 그러면서 점차 오늘날과 같은 한반도의
모습
을 갖추게 됐다. 그때가 쥐라기 중기인 약 1억8천만년 전이었다. 중생대에 한반도는 주변의 땅덩어리들의 움직임과 복잡하게 얽혀서 형성된 것이다.이 시나리오는 고지자기 자료들로부터 계산된 시뮬레이션을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04
말했다.우리 주위에는 딸기를 잘 먹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큼직하고 먹음직스러운 겉
모습
이 오히려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이들은 딸기가 이렇게 자랄 수 있는 것이 성장호르몬과 농약 때문이라고 생각한다.이에 대해 정 연구사는 “예전에 비해 딸기가 훨씬 커진게 사실”이라며 “이는 성장호르몬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