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02
첨단을 의미하는 코드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유비쿼터스가 드디어 세상에 그
모습
을 드러냈다고 생각한다.지난 한해 유비쿼터스 연구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는.지금까지 모든 사물에 인식칩을 심는 문제가 가장 큰 관건이었다. 지난 한해동안 인식칩은 빠른 기술적 발전을 이뤄냈다. 현재 물체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모두 웃음)무거운 듯 두손으로 책을 들어올려 보이는 굴드의
모습
이 익살스럽다.저는 이 책에서 다윈 진화론의 핵심을 정리하고 그 진화론이 왜 불완전하며 어떻게 하면 더 완전해질 수 있는지를 이야기했습니다. 저는 전통적인 다윈주의가 세가지 토대 위에 세워졌다고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02
1억년 전쯤 충돌했고 지금도 두 은하단의 충돌은 끝나지 않았다. 그림에 나타난 C153의
모습
은 두 은하단이 치른 전쟁의 결과다.구체적으로 C153이 상대 은하단 외곽부의 가스와 충돌하면서 벌어지는 광경이다. 충돌 속도는 시속 7천2백만km. 충돌 과정에서 은하에 있던 가스는 주변으로 뛰쳐나오고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겉보기에는 비슷해도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
을 하고 있다 이 중에서 별이 모여서 된 것이 성단인데, 여기에는 구형으로 된 구상성단(globular cluster)과 불규칙적인 산개성단(open cluster)이 있다 구상성단들은 대부분 은하의 나선 팔 바깥에 위치하며 매우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02
성립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농업기술, 제철기술, 의학기술을 발달시킨 선구자들의
모습
과 고려시대 지리학에 대한 개념을 엿볼 수 있는 풍수지리학 등을 한국 과학사의 전반기로 다뤘다.15-19세기에 이르는 조선시대는 시기별로 특징을 나눠 인물에 대해서도 좀더 자세하게 소개했다. 새로운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02
이 제파이어3를 싣고 가는 이유는 목표고도에서 탑승자와 곤돌라, 그리고 기구의
모습
을 촬영하기 위해서였다. 제파이어3은 기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찍어 지상으로 보낼 예정이었다. 물론 제파이어3의 성능 자체도 평가되는 기회이기도 했다.하지만 이번 도전은 아쉽게도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02
빔프로젝터를 위한 화면으로 바뀌게 된다. 또한 이를 응용할 경우 허공에 리모콘
모습
을 비춰놓고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제작할 수도 있다. 사생활 보호가 관건한편 개인과 개인공간의 보안에 관한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생활 환경에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02
사물에 칩이 내장됨으로써 사무실 안에서 물건을 찾기 위해 분주하게 소란피우는
모습
은 사라질 것이다. 자신의 미디어 컵을 화장실에 놓고 왔다는 사실은 언제나 검색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검색을 의미한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에는 공간 검색 서비스(Surfing Space Service, SSS)가 ... ...
강물 거슬러 오르는 연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1
속한 무지개송어 12마리를 실험실 수조에 넣고 소용돌이를 발생시켰을 때 헤엄치는
모습
을 조사했다. 고속 비디오 촬영 결과 무지개송어는 소용돌이를 뚫으며 헤엄치지 않고 그 사이를 피하듯 좌우로 몸을 흔들면서 헤엄치는 것이 확인됐다.소용돌이는 발생장소에 따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401
그런데 지난해 2월 미항공우주국(NASA)은 암흑에너지 존재를 뒷받침해주는 우주 초기
모습
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나사의 우주배경복사탐사선(WMAP)이 12개월 간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한 것이었다.WMAP가 담은 초기우주는 빅뱅이 일어난 지 38만년밖에 지나지 않은 것이다. 현재 우주가 8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