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대한 힘 공명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디스코텍의 스테이지에서 여러 명이 큰 음악 소리에 맞춰 발을 구르며 춤을 추고 있을 때
순간
떠올려야 할 사실이 있다. “공명으로 무너질 수도 있다. 다른 사람들과 다른 스텝으로 춤을 추어라.”현대 의학과 공명핵자기공명은 1964년에 발견된 이후 화학적, 의학적인 분야에 적용돼 왔다. 물질은 ... ...
비행기 참사의 비밀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블랙박스에서 얻은 기초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한 후 비행기가 날아가는 모습과 사고
순간
을 3차원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재현시키는 작업이다. 블랙박스 회수에서 이 단계까지 소요 시간은 길어야 몇주일 정도.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의 경우 블랙박스의 정체가 완전히 보고서 형태로 ... ...
움직임에 숨겨진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정지하고 있을 때 옆에 있던 차가 후진하면 자신의 차가 앞으로 가는 것처럼 착각돼
순간
적으로 브레이크를 다시 꽉 밟게 된다.비둘기의 움직임도 마찬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구구구'소리를 내며 걸어가는 비둘기의 머리를 살펴보자.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하지만 실제로 ... ...
1. 당신을 해피룸으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넘었다.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해피 룸을 열었다. 불쾌지수가 90이란다. 문을 여는
순간
상쾌한 바람이 얼굴에 부딪쳤고 은은한 조명이 눈의 피로감을 풀어주었다. 음악을 틀고 의자에 앉는
순간
, 음악의 리듬에 맞춰 온몸이 미세하게 흔들렸다. K는 긴장감이 몸에서 스르르 빠져나가면서 머리가 ... ...
외계인의 습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우주선에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웅웅거리는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오더니, 어느
순간
지구 전체가 대낮처럼 밝아졌다. 우주선들이 일제히 불을 밝힌 것이다.그리고 잠시 뒤 사람들은 우주선의 바닥이 열리면서 구멍이 송송 뚫린 커다란 원통이 튀어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즉시 사람들은 ... ...
4. 프로젝트 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프로젝트 랩. 문제들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을 떄마다 껶는 고통. 그러나 그런
순간
들을 이겨내고 해결책을 찾았을 때의 기쁨이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프로젝트 랩에 뛰어든 이지웅군의 심경은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창의력을 살린 산교육현재의 공학교육은 마치 소방용 호스에 ... ...
식인상어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세우고 다가와 갑자기 90도로 윗턱을 쳐든다. 여러겹으로 난 날카로운 이빨들을 보는
순간
몸은 덜컥 두동강이 난다. 3억5천만년 전에 나타난 늙은 어류가 바다를 지배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상어의 뛰어난 감각기관과 무기들을 살펴보자.상어는 물장구를 좋아한다. 올 여름 바닷가로 해수욕을 즐기러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그들은 달맞이 축제를 하듯 혜성을 향해 잔을 높이 올렸다. 건배! 소리가 울렸다. 그
순간
그들은 그 자세로 굳어버리고 말았다. 아무도 말을 하지 못했다. 그들은 입을 쩍 벌린 채 하늘만 바라보고 있었다. 그들의 시선이 닿은 곳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아니, 수천 광년 떨어진 곳에서 날아온 별빛만이 ... ...
권위의 상징 문장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사라지는 인생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무궁화의 하루살이는
순간순간
에 최선을 다하고 겸손해야 함을 일깨워준다.무궁화의 꽃 하나하나는 하루만에 진다. 하지만 나무 전체로 볼 때 끊임없이 새로 피어나는 것이 무궁화다. 끈질긴 생명력의 상징이다.무궁화는 우리의 국화다. 하지만 ... ...
2. 벌 날개짓 모방한 선박추진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그림2)의 2차원모델 두 번째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가 후연을 중심으로 열리는
순간
, 각 날개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순환이 형성돼 날개의 짧은 이동으로도 충분한 양력을 얻을 수 있다.실제 이 벌의 정지비행에서는 날개의 움직임이 4백Hz 정도로(1초당 4백번 진동), 날개가 붙어 있는 곳과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