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온 친구들 중 가장 성적이 안 좋은 편”이라며 위축된 상태였는데, 최영웅 박사와 윤병진 연구원을 만나고 나서 달라졌다. “성적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고, 목표를 세워 하나씩 실천하면 된다”는 말이 조 군의 가슴에 싹을 심어줬다.“제가 원래 생물과 환경을 좋아하고 해양에 대한 ...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건설에 좋은 참고가 되고 있다.지난 9월 1만 번 째 실험 돌파한 케이스타현재 케이스타는 연구원들의 노력과 끊임없는 성능 개량으로 꾸준히 좋은 연구 결과를 내고 있다. 지난 9월에는 1만 번째 실험을 돌파하기도 했다. 양형렬 부장은 “1만 번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숱한 실험에도 기기가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른다.아예 소행성에 공장을 세울 수도 있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연구원은 “NASA는 소행성 현지에서 자원 을 캐낸 다음,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즉석에서 기지를 만드는 연구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미국 행성 과학자들이 미래에 가장 잘 나갈 만한 분야로 꼽는 게 바로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운석이 대중과 가까워졌다는 것도 무척 고무적이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는 운석신고센터가 생겼습니다. 국가가 문화재를 관리하듯, 운석이 발견됐을 때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 국가 공인 장치를 만든 거예요.하지만 운석에 대한 이런 관심이 잠깐 ‘반짝’인 것 같아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는 머너 덕분 머너는 세계 최초로 ‘분자 하나’를 탐지한 과학자다. 그는 IBM에서 연구원으로 지내던 1989년, 단일 분자 검출에 성공했다. 1년 후 프랑스에서 형광을 이용하면 더 쉽게 고감도로 단일 분자 검출이 가능하다는 연구가 나오고, 새로운 응용 기술이 폭발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ac.kr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5년 3월 고려대에 부임해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몸이 떨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도 2013년 발표한 지침에서 “두꺼운 이불이나 옷은 벗기고 얇은 옷을 입혀야 한다”고 권고했다.열이 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반응이다. 만성질환이나 선천성 장애가 없고 평소 건강한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된 것이다. 출중한 디자이너에서 이제 보안솔루션을 제공하는 융합연구가로 거듭난 남 연구원이 말을 이었다.“자나 깨나 위·변조 방지 방법만 고민합니다. 그게 제일이니까요. 그렇게 축적한 노하우에 대해서 만큼은 자신 있습니다.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많이 공유돼서 짝퉁 없는 세상이 왔으면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 하고 싶은 분야를 연구할 계획이다. 지금도 주위 연구원들이 퇴근한 뒤에 실험실에 몰래 들어가 혼자 실험을 하곤 한다. 작년부터 뇌과학연구소인 세인즈베리웰컴센터 초대 센터장을 맡고 있다. 가능성 높은 후배 과학자에게 아낌없이 예산을 지원하고 그들이 ... ...
- [과학뉴스] ‘무서운 손’ 공룡, 50년 만에 정체 밝혀져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전세계 공룡학자들이 정체를 기다려온 공룡, ‘데이노케이루스’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0월 24일, 이융남 지질박물관장이 이끄는 한국, 미국, 일본, 몽골 공동연구팀이 데이노케이루스의 전체 골격 화석을 거의 완벽히 복원하고 그 생태까지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1965년,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