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10~20년은 해봐야 경험이 축적되고 무언가가 시작 될 것”이라는 박창용 책임
연구원
의 말을 새겨 봄직하다. 처음부터 엄청난 것을 기대하면 금물이다. 아직은 서로 더 많이 친해질 시간과 기회가 필요하다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분야에 뛰어난 업적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천상’은 필립 그리피스 미국 프린스턴 고등
연구원
명예교수가 받았다. 마지막으로 수학의 대중화에 공헌한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릴라바티상’은 아르헨티나의 과학 저널리스트 아드리안 파엔자 박사가 수상했다.박근혜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최근 친구인지 연인인지 헷갈리는 미묘한 사이를 부르는 ‘썸남썸녀’라는 말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상대방이 보낸 애매한 문자메시지 한 통을 붙들고 마음앓이 하고 있을 전국의 썸남썸녀들. 이들을 위한 희소식이 생겼다. 바로 상대방이 쓴 글로 그 사람의 감정을 분석하는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변종이 금방 등장하지 않을까.“에볼라는 그럴 일은 없을 겁니다.” 김상현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고개를 저었다. 에볼라는 인플루엔자만큼 변종이 자주 생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인플루엔자는 복제 과정에서 8개 유전자가 각각 따로 움직인다. 주변에 다른 인플루엔자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총장을 역임한 화학 교수 아이라 렘센의 실험실에서 근무하던 러시아 출생의
연구원
콘스탄틴 팔버그가 1878년 처음 발견한 합성 감미료다. 산업 폐기물이지만 유용한 자원이기도 했던 콜타르를 이용해 여러 가지 화합물을 합성하던 그는 우연히 ‘오쏘-설포벤즈아마이드’라는 물질이 유난히 강한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미국 칼텍의 롭 필립스 교수와 그의 조교(?)들. 말이 조교지 이미 박사 학위를 받은
연구원
과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교수다. 올해는 세포물리생물학과 진화생물학, 두 과목이 개설됐다.필립스 교수는 인생 여정이 이미 ‘융합’이다. 미국 브라운대에서 이론물리를 공부한 뒤, 응용물리학에 뛰어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저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장은 “기존 우주왕복선은 지구 재돌입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겉을 감싼 수천 개의 타일이 뜯어지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보수 비용이 너무 비쌌다”며 “대기권에 재돌입할 때 코팅재를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달려들었고 지금은 한국을 대표하는 공룡학자가 됐다. 언제나 차분하고 세심한 이항재
연구원
역시 공룡 외길 인생을 사는 중이다. 기자는 넷째 날, 위석을 지닌 원시 각룡류 공룡인 야마케라톱스(몸 크기가 개 정도로 작다)의 화석을 함께 발굴하며 그의 발굴용 망치를 빌려 썼다. 그런데 망치가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유전자 전체를 검사하는 게 아니라 특정 부위만 검색하기 때문이다. 김상현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시료가 훼손됐을 때나 초기감염처럼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몇 가지 검사를 더 한다.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연구 현황필자가 본격적으로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시기는 1997년 초 UCLA에서 박사후
연구원
으로 근무했을 때다. 당시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명성을 가지고 있었던 UCLA의 챈 조쉬(Chan Joshi)교수의 연구팀과 함께 연구하며 이 분야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었다. 2001년에 귀국해 이 분야 연구를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