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시간을 RDD(Research, Design and Development) 센터에서 엔지니어들과 함께 보낸다.“역동적인
연구원
들과 함께 일하는 데 여전히 전율을 느낍니다. 기술이 다이슨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기술은 회의실에 앉아서 만들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다이슨의 트레이드 마크인 날개 없는 선풍기도 이런 철학 덕분에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각별히 신경을 써야 했다.그 후 1년 동안의 화성 생활은 빠르게 지나갔다.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과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메탄/산소엔진으로 작동하는 5인승 차량으로 1만km가 넘는 탐사를 했고, 비행선과 무인기로 지형도 촬영했다. 매일 반복되는 일에 조금은 지치기도 하고 먼지폭풍이 불어올 때는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한 경기에서 승리를 거머쥘 비책은 없을까?열혈 축구팬이자 물리학자인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의 이인호 박사는 약팀이 강팀을 이길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흥미로운 시도를 했다. 이인호 박사는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에서 일어난 경기를 바탕으로 ‘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경우의 수를 따져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밤에는 다시 쌩쌩해져 스마트폰을 하며 잠을 못자는 악순환을 만들거든.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의 2013년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 10명 중 3명은 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어.스마트폰에 왜 중독되는 걸까?스마트폰이 공부만 방해하는 게 아니라 친구들을 중독시키고 있어서 더 큰 문제야. 지난해 1 ... ...
보너스 + 브라주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6개의 바람개비 조각으로 만든 브라주카!브라주카, 역대 최소 조각 수이자 최초의 구 테셀레이션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사용하게 될 공인구는 ‘브라주카’다. 월드컵 공인구 사상 최초로 축구팬들의 공모를 통해 지어진 브라주카는 ‘브라질인’을 뜻하는 포르투갈어에서 따서 지었다. 브라주카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알 수 없다” 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최영준 한국천문
연구원
우주 감시센터 책임
연구원
도 “아직은 확신하기 이르다”며 “성 장하는(탄생하는) 중인지, 혹은 반대로 위성이 부서진 파편인지부터 확인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나치 게 행성에 접근한 위성은 조석력을 받아 부서져 고리의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여기서 가장 능숙하게 로봇을 조종하는 1등 파 일럿이 시축의 주인공이 될 것이다.정
연구원
은 “시축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보면 느리 게 걸어와서 살짝 공을 건드리는 정도”라고 말했다. 하 지만 세계인이 지켜보는 축제의 개막식에서 하반신 마 비 장애인이 스스로 일어나서 공을 차는 모습은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연구결과의 정확도는 크게 달라지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완일 고등과학원
연구원
은 “잡음 제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 연구팀이 기존에 밝힌 99.999999636%(5시그마)의 높은 신뢰도가 크게 흔들릴 것”이라며 “연구팀이 찾아낸 중력파의 흔적이 진짜 흔적이 아닐 가능성이 커지는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
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조직에 위협되지 않을 정도로 작고 안전한 기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국내 연구진이 화재시 화장실을 대피공간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건설기술
연구원
은 신현준 화재안전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팀이 건물 내 화장실을 화재시 대피공간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2012년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한 비율은 전체 화재 건수의 24.7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