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자연의 정령을 숭배했고, 엘프 등의 신비한 존재들과 더불어 살았다. 이쯤에서 영화를 본
일부
고증 마니아들은 딴지를 걸기도 한다. 사우론과의 첫 전투장면에서 전사들이 입고 있었던 플레이트 아머는 15세기가 돼서야 등장했으며 프로도가 입고 있던 링 메일은 10세기에 등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 ...
전자레인지에 목욕시킨 애완견을 넣는다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화재가 일어날 만한 제품 내 회로에
일부
러 물방울을 떨어뜨려 보거나 제품의 외장에
일부
러 불을 내서 큰 화재로 번지는지를 시험해보기도 한다. 이같은 안전 테스트는 1백여년 전에 미국의 보험회사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당시 전기제품이 등장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화재사고로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알려져 있다. 이런 사실로 볼 때 세한도에 나타난 집은 중국풍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일부
학자는 세한도 가옥의 중국풍을 지적하면서 추사를 사대주의자로 몰아 세우기도 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중국의 집은 주요 구조부를 나무 골격으로 짰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집과 같지만, 양측벽과 ... ...
영생의 꿈 실현하는 현대판 미라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부어 더 이상의 부패를 차단한다. 다음은 탈수 과정이다. 표본에 남아 있는 수분이나
일부
지방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체액성분이 유기용매로 대체된다. 유기용매로는 알코올이나 아세톤이 주로 이용되는데, 최근에는 주로 아세톤을 이용한다. 다음 단계에서 합성수지와 치환할 때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즉 축구화와 공 사이의 마찰이 클수록 더 많이 회전했다. 프리킥을 전문으로 하는
일부
선수들이 축구화 앞쪽에 까칠까칠한 가죽을 덧댄다는 속설이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있다는 얘기다.그렇다면 비가 오는 날처럼 마찰 계수가 0인 상황에서는 공에 회전을 줄 수 없을까. 그렇지 않다. 아사히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자살을 생각했다. 척에게 동굴 이상의 집은 의미가 없었던 것이다.로빈슨 크루소는 섬의
일부
를 농장으로 만들었고 야생 가축을 자신의 소유로 길들였다. 그곳에서 로빈슨은 법이었고 섬을 관장하는 신이었다. 그리고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듯, 섬은 그의 식민지였다. 로빈슨 크루소는 섬에 ... ...
정전기 성의 세관문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띠는 원자핵과 (-)전기를 띠는 전자로 나뉘고 전체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그런데
일부
전자는 원자핵에 구속돼 있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물체를 마찰시키면 이 전자가 다른 물체로 이동하게 돼 물체의 전기적인 중성이 깨지고 만다. 즉 전자가 이동해가는 물체는 (-)전기를,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힘은 기조력(tidal force)이라고 불린다. 이는 달이 잡아당기는 인력(태양의 인력도
일부
포함된다)과 지구가 달에서 벗어나려는 원심력의 합이다(그림 2). 기조력은 지구가 달을 향한 지역과 그 반대 지역에서 평균 기조력보다 크게 나타나며, 직각인 지역에서 가장 작다. 따라서 바닷물도 달을 향한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폴리펩타이드라고 부르는 아미노산들이 수소결합에 의해 3차원 모양을 갖게 되면서
일부
필요없는 아미노산이 떨어져 나가기도 하고 당이나 지질이 와서 붙기도 한다.실제로 이같은 변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쓰여지는 단백질은 거의 없다. 또한 단백질이 만드는 세포가 어떤 기능을 하느냐에 따라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높아질수록 플라스마의 불안정성이 나타날 확률이 커진다. 플라스마가 불안정해지면
일부
가 흐름에서 벗어나 진공 용기의 벽에 부딪치고 플라스마 온도는 내려간다. 그래서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즉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안정적으로 가두는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