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땅을 소인국처럼 작게 줄여야 합니다. 이 때, 실물을 어떤 비율로 줄였는지 나타내는
정도
를 ‘축척’이라고 합니다.바닥돌에서 골목길 중간에 있는 3·1 만세운동길까지 거리는 얼마나 될까요? 바닥돌에 새긴 지도의 축척은 1:125입니다. 실제 125m 길이를 지도에서는 1m로 표시했다는 뜻입니다. 이 점을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경우, 통계적인 명확성이 계속 증가해서 결국 자신 있게 ‘발견했다’고 확신할 수 있을
정도
가 됐다. 반면 750GeV 신호는 올해 실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망스러울 수 있지만, 놀라운 일도 아니다. ATLAS와 CMS가 함께 동원된 대규모 분석 과정에서 작은 신호를 보는 경우는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심해 열수생물과 같은 생물자원이 이사부호를 기다리고 있다. 수심 1000m에서 3000m
정도
되는 지점에는 마그마에 의해 가열된 열수가 솟아나오는 해저열수광상이 분포하고 있다. 그 주변을 보면 수백 종류의 생물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데 신기한 것들이 많다. 온도가 수백℃로 뜨겁고 구리, 납, 아연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공유하기 때문에 mtDNA 정보만으로 100% 신원 확인을 장담할 수 없다. 실제 미국 백인의 7%
정도
는 동일한 mtDNA를 갖고 있다. 만일 변사자가 이런 흔한 mtDNA를 갖고 있다면 신원 확인 도구로 활용하기 어렵다. 이런 특성 때문에 mtDNA를 성(姓)씨에 비교하기도 한다. ‘제갈’ 씨나 ‘돈’ 씨처럼 특이한 성을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진행 중이다.유전자 발현 ‘지휘자’ 작은 RNA작은 RNA는 길이가 수 나노미터에 불과할
정도
로 작다. 하지만 생명체 안에서의 영향력은 결코 작지 않다.먼저 RNA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생명체의 DNA는 RNA가 있어야만 단백질을 만들어 생명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 DNA 이중나선에서 유전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앨런 테오 교수는 2004년부터 6년간 사람들마다 어떻게 대인관계를 맺고 외로움을 어느
정도
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이겨내려면 사람을 직접 만나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아무리 다른 사람과 SNS로, 전화로, 심지어 화상통화로 이야기해도 근본적인 외로움이 해결되지않았다. 테오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개발에 도전두 사람은 시도 때도 없이 만난다. 새벽에도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정도
로 친해졌다. 서로 생각을 나누는 데 부담이 없다 보니 자연스레 새로운 아이디어도 많아졌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이 ‘이비인후과용 질환 진단 보조 내시경 시스템’이다.이비인후과에서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등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막기 때문이지요. 숲에 사는 동물들에게 이
정도
의 기온 차이는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
로 큰 것이랍니다.프레이 박사는 “숲의 모양이 기온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오래된 숲을 지켜야 지구환경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투명해지기도 했다가 불투명해지기도 했다가를 반복했지요. 이 시소는 어떻게 기울어진
정도
를 알 수 있는 걸까요?“비결은 ‘초음파 거리 센서’에 있어요. 시소의 양쪽 아래에 붙어 있는 이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해 기자단 친구가 바닥에서 얼마만큼 올라와 있는지를 측정해요. 두 친구가 ... ...
[수학뉴스] 걷는 테이블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1년의 노력 끝에 세계 최초로 걷는 테이블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지금은 10일
정도
면 테이블을 만들 수 있어 판매도 하고 있습니다.그는 러시아의 수학자 파프누티 르보비치 체비쇼프의 네 다리로 걷는 기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체비쇼프는 확률과 통계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남긴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