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도전은 없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기존의 문제를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풀어보겠다는 정도의 제안을 해 왔다. 그는 “노벨상급 좋은 연구 성과는 소재를 선택하는 방법부터 연구 수행 방법까지 모두 달라야 한다”며 “지금처럼 남들과 똑같이 해서는 그런 성과를 내기 힘들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홍채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6개의 동심원을 긋고, 선이 지나는 부위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기반으로 0과 1의 정보를 얻어 저장한다. 홍채가 주변 환경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더라도 동심원이 같은 비율로 팽창하거나 수축하며 일정한 패턴 정보를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진 1000비트 가량의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스노클링을 하기에 더없이 좋은 장소다. 축의 바다는 밖에서 봐도 속이 다 들여다 보일 정도로 물이 깨끗하고, 에메랄드 색 물감을 타 놓은 듯이 아름다웠다. 하지만 물 속에 얼굴을 넣고 보는 광경은 또 다른 세계였다.5일간의 스노클링 일정 중 압권은 마지막 날 방문한 펜룩 섬 해안에서의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밀렵을 막는 활동이 사업성이 크다고 판단해 동물로봇을 개발했다”고 말했을 정도다.이들이 개발한 로봇은 밀렵꾼을 유인하는 미끼로 쓰인다. 여우, 사슴, 곰, 늑대, 엘크 등 종류도 다양하다. 만드는 방법은 이렇다. 먼저 스티로폼으로 동물 몸체를 만든 뒤, 머리, 꼬리, 귀, 다리, 입 등에 모터와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바뀐다”는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내놨다. 그는 “하지만 사람과 구별할수 없을 정도로 닮은 수준이 되면 다시 로봇에 대한 호감도는 사람에게 느끼는 감정만큼 커진다”고 설명했다. 처음에는 사람과 너무 닮아 친근함을 느낄 수 있지만, 그 안에 사람이 아닌 정체를 알 수 없는 것이들어 ... ...
- [과학뉴스] 제임스 웹, 우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모양으로 펼칠 수 있답니다.거울의 전체 지름은 6.5m로, 허블 우주망원경의 거울보다 2.5배 정도 커서 허블 우주망원경에 비해 성능이 100배 더 우수해요. 그래서 무려 135억 년 전 우주의 흔적까지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막기 때문이지요. 숲에 사는 동물들에게 이정도의 기온 차이는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큰 것이랍니다.프레이 박사는 “숲의 모양이 기온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오래된 숲을 지켜야 지구환경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투명해지기도 했다가 불투명해지기도 했다가를 반복했지요. 이 시소는 어떻게 기울어진 정도를 알 수 있는 걸까요?“비결은 ‘초음파 거리 센서’에 있어요. 시소의 양쪽 아래에 붙어 있는 이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해 기자단 친구가 바닥에서 얼마만큼 올라와 있는지를 측정해요. 두 친구가 ... ...
- [창간 기념 이벤트] 수학동아 일곱 번째 생일 파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있는 카오루앙 동굴을 탐험할 거예요. 카오루앙 동굴은 유명한 영화에도 등장했을 정도로 멋진 곳이에요. 특이하게 카오루앙 동굴 안에는 사원이 있다고 하는데, 동굴 안의 사원은 어떤 모습일지궁금하지 않나요?태국 탐사대원들은 차암에 있는 공원도 방문할 예정이에요. 그곳에서 험한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장 먼저 위키백과에 적힌 내용을 살펴본다.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누군가 잘못된 정보를 올려도 곧바로 이 분야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보고 내용을 옳게 고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식을 나눠 만든 결과를 ‘집단지성’이라고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