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016년 4월 중순, 일본 큐슈 구마모토에서 대지진이 발생했어요. M7.0
정도
의 어마어마한 강진이 14일과 16일, 두 번에 걸쳐 연속으로 일어났답니다. 그 후 700회 넘는 여진까지 계속 발생했지요. 구마모토 주민들은 지금도 공포에 떨며 불안정한 대피 생활을 계속하고 있어요.게다가 세계 곳곳에서 비슷한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동물들까지 다양한 먹이를 먹지요. 손바닥 크기의 물고기를 그 자리에서 8~10마리나 먹을
정도
로 많이 먹는답니다. 그래서인지 너구리는 통통해서 움직임이 느려요. 이 때문에 위험한 상대를 만나면 빠르게 도망가지 못하고 죽은 척을 하지요. 가끔은 고약한 냄새가 나는 분비물을 뿌리고 도망가기도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가장 먼저 위키백과에 적힌 내용을 살펴본다.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누군가 잘못된 정보를 올려도 곧바로 이 분야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보고 내용을 옳게 고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식을 나눠 만든 결과를 ‘집단지성’이라고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우주배경복사의 온도가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났던 것이다. 그 차이는 약 10만 분의 1
정도
다. 10만 분의 1이라는 차이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말이나 다름없다.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무엇일까. 과학자들은 초기우주에 있었던 물질의 밀도 차이 때문에 생겼다고 추측한다. 어떤 곳은 물질이 많이 ... ...
[소프트웨어] 레고를 빌려드립니다! 레츠고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제품을 사주는 게 부담스러울 지경이 됐어요. 아이들은 아무리 비싼 레고라도 1~2주
정도
가지고 놀고 나면 시들해져서 또 다른 레고를 찾더라고요.”직접 겪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싶었던 권 대표는 당시 다른 사업을 함께 준비 중이었던 멤버들과 함께 레고 대여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했다. 권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에 따르면 잎이 지기 위해서는 광주기가 임계값 이하가 돼야 한다(즉, 낮이 일정
정도
짧아져야한다). 임계값은 나무의 종이나 자라는 장소의 위도에 따라 다르다. 정수정 중국 남방과학기술대 환경과학과 교수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단풍 시작일을 예측하는 온도-광주기 모델(TP 모델)을 개발해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대홍채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6개의 동심원을 긋고, 선이 지나는 부위의 밝고 어두운
정도
를 기반으로 0과 1의 정보를 얻어 저장한다. 홍채가 주변 환경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더라도 동심원이 같은 비율로 팽창하거나 수축하며 일정한 패턴 정보를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진 1000비트 가량의 ... ...
Intro. 가장 인간적인 표정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제2의 언어라 불러도 무색할 만큼 많은 의미와 감정을 담고 있다. 얼굴 근육은 80개
정도
이며 이 중 표정을 만드는 근육은 고작 50여 개뿐이다.하지만 사람마다 수없이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고, 똑같은 웃는 표정이라도 상황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다. 우리는 표정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약속한 것처럼 판이하다. 비전문가도 1~2시간만 관찰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
다.침팬지 사회부터 살펴보자. 침팬지 사회는 대장 수컷 중심의 서열 사회다. 의사결정을 하는 데 수컷 사이의 서열을 가장 먼저 고려한다. 그런데 서열은 언제든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서열이 높은 개체는 서열을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바뀐다”는 ‘불쾌한 골짜기’ 이론을 내놨다. 그는 “하지만 사람과 구별할수 없을
정도
로 닮은 수준이 되면 다시 로봇에 대한 호감도는 사람에게 느끼는 감정만큼 커진다”고 설명했다. 처음에는 사람과 너무 닮아 친근함을 느낄 수 있지만, 그 안에 사람이 아닌 정체를 알 수 없는 것이들어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