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여라, RNA 패밀리!과학동아 l2006년 10호
- 반대로 세포의 핵심 기능을 맡다가 손자뻘 RNA들에게 할 일을 뺏긴 원시 리보자임은 조금씩 설 자리를 잃고 오늘날 일부 종에서만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RNA 가족은 ‘대표 3인방’이라 할 mRNA, rRNA, tRNA 외에도 여러 식구를 거느리고 있다. 이들은 mRNA, rRNA, tRNA 3인방이 유전정보를 단백질로 ... ...
- 우주 날씨에 영향 미치는 폭풍우과학동아 l2006년 10호
- 개 겹쳐 놓은 것과 같은 형상의 약 50kg의 철제 세차(勢車, fly wheel)를 붙인 장치로서 힘이 조금만 가해져도 수레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데서 이 명칭이 생겼다 입자(粒子)의 관성력과 유체의 점성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無次元數)로서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 ...
- 화학나라 참살이시의 시장은 바로 나!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있습니다.보시면 아시겠지만, 질소가 거의 80%를 차지합니다. 공기 중 산소 농도가 조금만 높아지면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모두가 급격한 산화 과정을 통해 화상을 입고 죽게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저 질소가 이런 끔찍한 상황을 막아온 것입니다!참살이시의 시민 여러분, 과자 좋아하시죠? 봉지가 ...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과학동아 l2006년 10호
- 것은 아니다. 살짝만 빗맞아도 공은 기대했던 방향과 다르게 굴러간다. 즉 초기 조건이 조금만 달라져도 전혀 다른 결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이 혼돈 현상 즉, 카오스(chaos)다.그런데 혼돈 현상을 이용해 초소형 레이저를 만드는 사람이 있다.중국 베이징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바다 건너 미국 ... ...
- 1. 세계로 가는 철도과학동아 l2006년 09호
-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근래 철도를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오히려 조금 늦은 느낌마저 있다.하지만 한국철도는 비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남북철도의 연결과 대륙철도와의 연계다. 지난 2000년 6월 15일 남북정상회담으로 양측이 철도 연결에 합의한 이래 경의선과 ...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지나는 빛의 경로가 구부러진다든지, 수성의 근일점(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이 조금씩 이동하는 현상을 놀랄 만큼 잘 설명한다. 요즘 유행하는 GPS에도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이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일반상대론에 따르면 중력의 세기가 다른 곳에 있는 시계는 초침이 움직이는 비율이 ...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과학동아 l2006년 09호
- 반복한다. 이 수렴하는 경로 부근에서 보면 과거(시간 8.5)에 출발한 빛이 웜홀 입구 B 조금 전까지는 미래(시간 13)로 흐르다가 웜홀을 통과한 뒤 다시 이전의 과거(시간 8.5)로 돌아간다. 시간이 과거로 흐른 것이다.광속에 가깝게 비행하는 우주선이 이런 웜홀을 통과하면 그 경로는 빛과 크게 다르지 ... ...
-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과학동아 l2006년 09호
- 공대생, 사회 속의 공학을 말하다“친구의 생각에 부분적으로 동의하지만, 제 생각은 조금 달라요.”밤이 깊었지만 토론의 열기는 식을 줄을 몰랐다. 예비 공대생들은 캠프 첫째 날과 둘째 날 밤 9시부터 ‘공학과 사회’를 주제로 열띤 심야토론을 했다.첫날밤은 ‘과학동아’ 8월호 특집기사 ...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9호
- 부르다가 갑자기 멈추면 술래가 움직이는 사람을 찾아 낸다. 아무리 번개같이 멈춰도 조금 있으면 몸이 흔들리게 마련이다. 모든 물체가 100% 완벽하게 멈출 수는 없을까. 바로 온도를 영하 273.15℃로 낮추는 것이다. 이 온도에서는 모든 분자와 원자가 그대로 멈출 정도로 얼어 버린다. 이 이상 온도를 ...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과학동아 l2006년 09호
- 구현했고, 실내공간을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바퀴를 이용했다. 키는 일반 성인 보다 조금 작은 1m50cm며 무게는 120kg으로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크기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로봇의 손이다. 컵이나 냉장고 손잡이를 잡기 위해 수많은 모의실험을 통해 7개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