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참조)③ 크기 1mm의 선충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인기 있는 실험 생물 중 하나. 2014년 6월 미국의 ‘티모시 버스비스’가 이 선충의 신경세포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었다. (특집 ‘호모 사이보그’ 참조)④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루는 아주 작은 입자. (통합과학 교과서 참조)⑤ 태양계의 4번째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탈모, 원형탈모, 카페인 분해 배출, 비타민 C 분해 배출 등이 포함된다. 정 이사는 “미국의 경우 당뇨나 천식처럼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병하는 질병 관련 유전자를 제외한 다수의 유전자를 전문 분석기관에서 검사할 수 있다”며 “국내에서는 과학적인 근거가 상대적으로 많이 쌓인 형질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3D프린터로 살아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태로 찍어 장기 모습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Wyss Institute)는 2016년 3D프린터를 이용해 심장 조직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의 신준섭 서울대 의대 교수는 “3D프린팅은 장기의 형태를 지지하는 구조체나 뼈 등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안에서 두 광격자 시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0년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두 개의 알루미늄 이온 광격자 시계를 이용해, 하나는 지표면에 두고 하나는 지상 33cm에 놓은 뒤 시간차를 측정한 실험을 진행해 79년간 90억 분의 1초만큼의 시간 차이가 난다는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후 많은 과학자와 철학자, 미래학자들이 특이점에 관해 많은 추측을 내놓았어요.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윌리엄 뎀스키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인공지능은 절대 사람과 같아질 수 없다고 했고,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2029년이 되면 인간에 필적할만한 인공지능이 등장할거라고 예측했죠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로잡았답니다. 슬링키는 왜 이렇게 움직이는 걸까요? 실수로 발명한 슬링키1943년 미국의 선박 회사에서 기계공학전문가로 일하던 리처드 제임스는 거친 파도에도 끄떡없이 떠 있게 해줄 기계 장비를 개발하는 일을 하고 있었어요. 어느 날 실수로 높은 선반에서 용수철 하나를 떨어뜨렸는데, 이 ...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합니다. 개척자이자 핵심주역인 비틀즈는 해체를 발표하기까지 6년 동안 미국 차트를 점령했지요. 비틀즈 결성 초기에는 다소 잡음이 있었지만 존 레논, 폴 메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 넷이 된 후에는 다재다능하고 혁신적이며 새롭고 대중적인 밴드로서의 면모를 과시합니다. 수많은 명곡이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열린 마이크로칩 파티지난해 8월 1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IT기업 ‘쓰리 스퀘어 마켓’에서 특이한 파티가 열렸어요. 바로 직원들의 손에 마이크로칩을 심는 ‘칩 파티’였지요. 이날 직원 85명 중 50명이 자신의 손에 칩을 이식 받았답니다. 이들은 칩으로 문을 열고 복사기를 사용하며, 물건을 살 ... ...
- [과학뉴스]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와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동 연구팀이 고대 파충류 ‘바다사우루스 헤르조기(Vadasaurus herzogi)’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서도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과학자 곽선영 연구원이 속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연구팀이 빛이 나는 식물 조명을 개발 했어요. 이 조명은 약 4시간 동안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빛을 냈지요. 연구팀은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원리를 이용했어요. 반딧불이는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와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