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번 암이 된 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을까
2015.08.25
되는 건 여러 유전자가 망가지며 일어나는 비가역적인 반응”이라며 “마이크로RNA를
조절
해 일부를 정상으로 되돌린다고 해도 암세포 전체를 정상세포로 되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24일자에 실렸다. ... ...
로봇 팔 끼고 사과 따기 게임 해보실래요?
2015.08.21
안에 개발할 계획이다. 우 연구원은 “관절마다 힘 센서를 달아 환자 상태에 맞춰 힘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편의성을 높였다”면서 “‘다빈치’가 수술 로봇을 대표하는 것처럼 이번에 개발한 로봇이 국내 재활 로봇의 대표 상품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만들었다. 이 장치는 구토물의 양과 끈적끈적한 점도, 구토의 세기(압력) 등을 세세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이어서 연구팀은 노로바이러스의 ‘안전한 대용품’으로 실험에 이용되는 ‘MS2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를 모의 구토물에 섞어 얼마나 많은 양의 바이러스가 구토 행위를 통해 연무질이 될 수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포청소에 관여하는 RNA 간섭(RNAi) 현상을 이용한 유전자
조절
기술이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 치료법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원하는 세포에 siRNA를 전달하는 기술이 없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실험실 수준에서는 암세포 증식을 막는 효과가 ... ...
[Health&Beauty]젊어지는 난청인과 올바른 보청기 맞춤
동아일보
l
2015.08.19
이용한 청각 회복은 보청기 맞춤으로 시작된다”면서 “보청기 맞춤은 보청기의
조절
기능을 통해 최상의 음질을 얻고, 개인의 난청의 특성에 따라 설계된 개인 맞춤형의 청각회복치료 모든 과정에 걸쳐 제공되는 전문적인 치료 서비스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성호 기자 hsh0330@donga.com ... ...
“다 잡아 먹겠다” 가시광 흡수율 높인 초박막 광소재
2015.08.18
김 교수는 “초박막 소재를 원자단위로 미세
조절
하는 기술은 소재의 물성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다”며 “향후 종이보다 얇고 구겨지는 태양전지, 광센서 등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 ...
“우울증, 비만 치료제 남성에게 효과 없어”
2015.08.18
꼽히기도 한다. 연구진은 암컷과 수컷 쥐를 대상으로 엔도카나비노이드의 분비를
조절
하는 우울증·비만 치료제인 ‘URB-597’의 효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암컷 쥐의 경우 URB-597를 투여하면 엔도카나비노이드의 분비가 줄었지만, 수컷쥐의 경우 약을 투여해도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차세대 항암제용 항체, 어떻게 암 없애는지 확인
2015.08.18
기능은 억제했다. GITR 자극 항체의 항암 효과는 인터루킨-9를 매개로 T세포의 기능을
조절
해 생긴다는 사실을 최초로 알아낸 것이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인터루킨-9의 역할을 재조명했다”며 “향후 이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부작용 없는 당뇨병 치료물질 찾았다
2015.08.16
나오는 호르몬으로 당뇨환자의 혈당을
조절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투여량을 정확히
조절
하지 못하면 세포증식을 과도하게 촉진해 암 발병이나 동맥경화 같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연구진은 IR-A48이 인슐린과 유사하게 혈당을 낮추면서도 세포 증식은 촉진하지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반도체 소자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포스포린을 이용하면 밴드갭을
조절
할 수 있어 고성능 초소형 반도체 소자 개발이 가능하다. 김 교수는 “포스포린은 그래핀의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 그래핀 상용화의 걸림돌인 밴드갭 문제도 없다”면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연구가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