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
2015.08.12
막는 과정에서 HAUSP이란 효소와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DNA 합성을
조절
하는 단백질인 뉴클레오린이 p53 단백질과 HAUSP 효소 둘을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한다는 사실 또한 새롭게 밝혀냈다. 백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밝혀내지 못했던 DNA 손상 이 일어났을 때 각각의 단백질이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있는 여러 마이크로RNA가 니코틴 중독을 일으키도록 니코틴 중독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
한다는 것이다. 임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니코틴 중독의 새 원인을 밝히고 치료방법 개발의 근간을 만들었다”며 “특히 마이크로RNA는 크기가 작아 약물전달물질에 넣으면 몸속으로 전달이 쉬운 만큼,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이남기 교수(왼쪽 사진)와 김기문 단장 - IBS 제공 우리가 감정을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일은 두뇌 활동의 결과다. 뇌 속 신경세포의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신경세 ... '막융합'을 형성하고, 이때 막융합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IBS 제공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온도가 아니면 서로 섞이지 않으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연구팀이 액정을 자유자재로
조절
함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상태가 공존할 수 있는 액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표면이 매끈하고 균일한 네마틱 상태와 거칠고 다공성인 등방성 상태가 섞여있기 때문에 영역별로 빛이 굴절하는 방향이 ... ...
스트레스 많이 받으면 판단력 떨어진다
2015.08.05
있는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촬영) 장비로 검사한 결과 스트레스가 심한 실험군은 자기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편도체와 선조체 등 뇌 부위의 활성이 크게 저조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교수는 “(얼음물에 손을 3분간 담그는) 일상적인 수준의 스트레스도 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 ...
빛의 양 따라 알의 밝기
조절
하는 노린재
2015.08.03
생리학적으로 빛을 받아들이는 특별한 시각적 입력기관이 있어 실시간으로 알의 색을
조절
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초기단계지만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면 환경 변화에 따른 곤충의 진화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금 박막에 빛을 쏘이면 전자의 진동으로 열이 발생한다. - 손준호 제공 PCR의 원리는 온도
조절
이다. 열을 가해 두 가닥의 DNA를 한 가닥으로 분리한 뒤 증폭시키고 다시 온도를 내려 두 가닥으로 붙이기를 30회 정도 반복해야 한다. 보통 이 과정에는 수 시간이 걸린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 안에 ... ...
필레가 보낸 7가지 메시지
2015.08.02
국립보건원(NIH) 심장·폐·혈액연구원 박사팀은 미토콘드리아가 근육 내 에너지 분포를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현재까지 골격근 내 에너지 분포는 대사체(메타볼라이트)의 확산을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대사체는 생명체가 먹고,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초경량 액추에이터(구동 장치)를 달아 다리의 힘이 물의 표면장력보다 작아지도록
조절
했다. 조 교수는 “그동안 소금쟁이가 수면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는 과정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도약 과정을 밝혀냈다”면서 “생물학자, 유체역학자, 로봇공학자의 노력이 합쳐져 ... ...
당뇨병 치료제로 타이레놀 부작용 막는다
2015.07.30
확인했다. 이 연구원은 “GADD45β 유전자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인한 독성을 억제하는
조절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한 점에서 새로운 간 독성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