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할 내용이 많다. 현재는 새로운 기술로 곤충의 진화와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곤충 유전체 관련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다루기 위한 컴퓨터 언어도 배우고 있다. 학자의 꿈을 위해 연구소에 몸담고 있지만, 만화는 계속 그릴 것이다. 그리고 연구와 만화를 병행하며 내가 좋아하는 두 가지 모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마찰할 경우 양전하가 피부로 이동해 축적돼 쉽게 정전기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강유전체에 높은 양극성을 부여한 뒤 피부와 마찰하면 피부에 쌓여있는 양전하를 줄일 수 있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doi: 10.1002/adma.201502463압전 재료 중에서 현재 이 교수가 관심갖는 분야는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 ...
- [특집] 박쥐의 사냥법이 궁금해? 답은 똥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사마귀입술박쥐 136마리의 똥 샘플 143개에서 먹이의 DNA를 분석한 결과, 개구리의 유전자가 27%로 가장 많았어요. 다음으로 도마뱀이 많았고 벌새도 일부 발견됐지요.연구팀은 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 실험을 설계했어요. 사마귀입술박쥐가 소리를 내지 않고 움직이지도 않는 동물을 사냥할 수 ... ...
- [특집] 너무 매력적이어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고양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두 종을 더는 구분할 수 없을 거란 결론을 내렸어요. 특히, 개체 수가 적은 야생 고양이의 유전자 보존이 더 위협을 받는다고 설명했지요. 스위스에는 100만 마리가 넘는 집고양이가 있지만, 야생고양이는 몇 백마리에 불과하거든요. 연구팀은 “야생고양이와 집고양이의 교배를 막는 조치가 없으면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기형 등 유전적 결함이 있는 개체가 태어나고, 멸종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어요. 따라서 유전적으로 건강한 개체를 탄생시키기 위해 먼 곳에 떨어진 동물끼리 번식시키는 거예요. 다음날 스미소니언 동물원 부설 연구기관인 프론트로얄 스미소니언연구소에도 방문했어요. 이곳에서는 동물 분변을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DMZ)에 사는 식물종 중 원시종인 ‘솔잎란’과 유전적 차이가 큰 식물 20종을 선별해 식물 유전자를 음악으로 바꿨어요.전시에 참여한 이다영 작가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을 음으로 바꿨어요. 아미노산의 분자량으로 소리의 세기를 표현하고, 아미노산이 물 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에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 ...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노벨화학상 │ 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 ...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혼자서 질병을 일으킨다고 확인해야 했지요. 찰스 라이스 교수는 1996년 X꼬리를 붙인 유전자를 침팬지에게 주입해 간염이 발병하는 것을 확인했어요. 즉, 이 바이러스가 홀로 C형 간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혔답니다 ... ...
- [가상인터뷰]오가노이드 성장 비결은 쥐어짜내며 ‘압축’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장, 심장, 뇌 등 다양한 기관의 세포로 분열하라고 명령을 내려. 베타카테닌이라는 유전자 물질은 세포 속 다른 단백질에게 이 신호를 전달하지. Q.오가노이드를 왜 ‘미니’장기라고 불러?A. 오가노이드는 태아의 세포 상태에만 머물러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이야. 그래서 성숙한 인간의 실제 ... ...
- 노벨화학상│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이를 응용하면 원하는 유전자도 자를 수 있다는 것을 시험관에서 증명했지요. 이 유전자 가위의 이름은 ‘크리스퍼-cas9’로 붙였으며, 훗날 동식물에서도 성공적으로 작동한다는 게 세계 곳곳의 과학자를 통해 밝혀졌답니다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