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택배 박스 줄게, 친환경 연료 다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활용했어요. 미생물 야로위아 리폴리티카에 자일로스를 잘 소화할 수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주입했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돌연변이 미생물은 일반 미생물에 비해 바이오디젤을 2배 더 생산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이선미 박사는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디젤이 널리 쓰인다면 기후변화 대응에 ... ...
- [만화뉴스] 코로나19, 생활하수로 예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9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추출해, 날짜별로 하수 침전물에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물질 농도 변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농도 변화 데이터는 날짜별 확진자 수 변동보다 6~8일 앞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1984년 핀란드에서도 생활하수를 이용해 소아마비 감염을 예방한 적이 있어요. ...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유전자 조각을 이용하여 후손에게 조언을 해. 머피 교수 연구팀은 “병을 옮기는 세균의 유전자를 감지해 생물이 세균을 피하는 행동을 하고 후손에게도 세균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첫 사례”라고 말했어 ... ...
- [과학뉴스] 숙주식물 유전자를 해킹해 기생 타이밍 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과정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실새삼이 숙주식물과 꽃 피는 시기를 맞추기 위해 유전자를 읽는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실새삼이 숙주식물보다 늦게 꽃을 피우면 숙주식물이 꽃을 피우느라 영양분을 써버려 영양분이 부족해져요. 반대로 실새삼이 숙주식물보다 빨리 꽃을 피워 영양분을 쓰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돌연변이,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DNA에 기록된 유전정보에 따라 눈 색깔, 머리 색깔, 혈액형 등이 결정된답니다. 그리고 이 유전정보 중 일부는 자손에게 전달되기도 하죠. DNA는 세포가 분열되는 과정에서 복제돼요. 그런데 가끔씩 DNA가 원본과 다르게 복제될 때가 있답니다. 이 현상을 ‘돌연변이’라고 하죠. 돌연변이는 저절로 ... ...
- [헬라세포] 그 불멸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바이러스(HPV)’의 유전자가 발견되었어요. 생물학자들은 헬라세포에 끼어든 이 바이러스 유전자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이 헬라세포의 p53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해 무한 증식을 가능케 한다고 추측했지요. 그래서 헬라세포는 돌연변이가 심해져도 끝없이 분열하고 증식해요. 연구팀이 분석해 보니, ... ...
- [만화뉴스] 코로나19 중증환자, 호중구 보면 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결과를 9월 7일 발표했어요.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들의 기관지 폐포에 있는 세포들의 유전 정보를 분석했는데, 중증환자의 기관지에는 호중구가 과도하게 증가해 있었어요. 호중구는 백혈구 중 50~70%를 차지하는 면역세포로, 몸에 침입한 세균을 먹어치워요. 그러나 과도하게 생기면 정상세포를 ... ...
- [만화뉴스] 코로나19, 동물들도 걸릴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데이비스캠퍼스 진화생태학과 해리스 르윈 교수팀은 410종의 척추동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코로나19에 취약한 순으로 분류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동물과 인간의 ‘ACE2’ 단백질에 주목했어요. 코와 입 등에 분포하며 혈압을 조절하는 ACE2 단백질은 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데 ... ...
- [과학뉴스] 유해물질 감지하는 컬러 센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센서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바이러스 ‘M13박테리오파지’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변형해, 벤젠이나 아세톤 같은 유기화합물이나 환경호르몬에 반응하도록 만들었어요. 이후 가로세로 수 cm 면적의 센서 기판 위에 바이러스를 얇게 코팅했지요. 그 결과 수십 ppb* 농도에도 색이 변할 ... ...
- [가상인터뷰] 바이킹이 천연두를 전 세계에 퍼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바이러스 때문에 죽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했어. 분석 결과, 20세기의 천연두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달랐거든. 이를 토대로 이들이 감염됐을 당시의 천연두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낮고 인체에 치명적이진 않았을 것으로 추정했지.다만 천연두 바이러스는 동물들을 통해 계속 옮겨다니면서 진화했을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