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과학"(으)로 총 2,13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자에겐 고질병이 하나 있다. 건강 검진을 받으면 모든 항목에서 ‘정상’을 받을 정도로 건강한 편인데, 중요한 시험이나 면접을 앞두곤 예외 없이 배탈이 난다. 과민성 장 증후군이다. 병원에 가봐도 스트레스가 원인이라는 말 이상은 들을 수 없었다. 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라지만, 이 경우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의 진보는 우주의 난제를 푸는 과정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가령 ‘태양 에너지가 어떻게 진공인 우주 공간을 지나 지구까지 전달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어떤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명 에테르 가설이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에테르가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24년 전, 한 농촌 마을을 공포로 몰아넣은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했다. 범인은 자그마한 흔적조차 남기지 않았다.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의 마지막 소원은 공소시효가 끝나기 전에 범인을 잡는 것이다. 안타까운 사연에 장기미제전담팀의 사무실은 사건 해결의 실마리를 잡기 위해 고민으로 가 ...  ...
                            
 
                        
                        
                                            
                                                            
                                                             - [과학뉴스] 광자 셋의 칼군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연구진이 실험실에서 광자 3개를 얽힘 상태(entangled state)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궤도각운동량, 즉 뒤틀림 방향에서 고차원적으로 얽힌 광자 두 쌍을 조합해 3차원에서 얽혀있는 세 광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비엔나대 물리학부의 미헐 말리크 박사는 과학뉴스포털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인터뷰를 하러 찾아간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 교수의 연구실은 기계공학자라기보다는 자연과학자의 방 같았다. 한 켠에는 포인세티아를 닮은 꽃이 자라는 큰 화분, 또 다른 쪽에는 신기하게 생긴 식물의 씨앗이 있었다. 김 교수는 “기계공학도 자연의 원리를 공부하는 학문이라 ...  ...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안녕하세요, 엄 교수님. 어떤 연구를 하시는지 궁금해요.저는 그래프 이론★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어요. 박사과정 때 풀기 시작한 알고리듬 난제를 해결한 업적을 인정받아 2012년에 ‘젊은과학자상’을 받았습니다. 그래프 이론과 매트로이드 이론★의 공통점에서 행렬의 계수를 이용하면 된다는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기자단 친구들은 세계에서 가장 멀리 날아간 기네스북 종이비행기 실험에 도전해 보기로 했어요. 기네스북에 오른 종이비행기는 과연 몇 m나 날았을까요? 놀라지 마세요. 자그마치 69.14m!이 기록은 종이비행기의 달인으로 알려진 미국의 존 콜린스와 미식축구 선수 출신인 조 아유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최근 KAIST 수리과학과 안드레아스 홀름센 교수가 홀의 결혼정리를 공간에 있는 유한개의 점에 관한 문제로 확장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홀의 결혼정리는 언제 남녀 사이에 짝을 지어 주는 게 가능한가에 관한 정리지요. 홀름센 교수의 연구가 어떤 것인지 결혼정리부터 샅샅이 알아봅시다.학생 6명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세계에서 가장 춥다는 남극 한 지역의 최저 기온은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난해 12월 31일,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과 국제 순수 및 응용물리학연맹(IUPAP)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니시나 가속기연구센터(RNC) 모리타 고스케 박사(오른쪽 사진)팀에게 113번 원소(임시명:Uut, 우눈트륨)에 대한 명명권을 부여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존재가 드러난 118개 원소 중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