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폰"(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필로그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맞대고 만든 수학 문제를 풀다 보면 자연스럽게 대구의 역사도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됩니다. 어서 합류하시죠! 여름방학은 시원한 수학 맛집에서~! 전국 곳곳에서 열리는 여름방학 수학체험 프로그램8월은 야외에서 활동하기에는 더운 날이 잦습니다. 그렇다면 시원한 실내에서 ...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뭐냐고요? 도마뱀은 살아있는 세포 자동자세포 자동자는 헝가리 출신 미국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 만든 개념으로, 색을 규칙에 따라 배열한 칸의 상태가 주변 칸의 상태에 따라 계속해서 바뀌는 모형이에요. 모든 칸의 상태가 동시에 바뀌기 때문에 이전 상태가 다음 상태를 결정합니다. 노이만은 ...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사용을 자제하고 공부에 집중한다. 하지만 이때 유독 이용량이 더 많아지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수학 문제를 사진으로 찍으면 5초 이내에 풀이 및 해설을 찾아 주는 ‘콴다’다. 콴다를 개발한 회사 ‘매스프레소’의 SW 개발자 박선준 연구원을 만나 수학 SW 개발자에 대해 물었다. 콴다 ... ...
- 아폴로 8호, 역대 가장 무모한 임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우주 경쟁이 한창이던 시기, 달 착륙선 개발이 지연되면서 NASA의 로켓 개발자 베르너 폰 브라운은 1968년 아폴로 8호 계획을 대폭 수정했다. 지구 궤도를 돈다는 기존 임무를 급작스럽게 달 궤도 선회로 바꾼 것이다. 아폴로 8호는 역대 가장 무모했던 계획인 동시에 달 착륙을 앞당긴 계획이라는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W/kg보다 흡수율이 낮으면 1등급, 0.8~1.6W/kg은 2등급으로 분류한다. 현재 판매 중인 5G 스마트폰의 전자파흡수율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S10 5G’가 0.717(1등급), LG전자의 ‘V50 씽큐 5G’는 0.9(2등급)다. "전자파를 측정할 때는 기기의 출력을 최대출력으로 강제 조정한 뒤 측정한다.실제로 기기를 사용할 ... ...
- 고려대-SK하이닉스, 연세대-삼성전자 반도체 인력의 세대 교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기술에 유용하게 쓰일 시스템 반도체 후보는 크게 세 가지다. 첫 번째는 스마트폰과 같이 작은 기기에 들어갈 ‘인공지능 가속기’다.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메모리 반도체 사이를 오가는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중 일부를 GPU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시스템반도체가 필요하다 ... ...
- 최고가 그림의 비밀, 데이비드 호크니 展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자주색, 살구색 구름이 어우러져여름 아침의 첫 햇살을 받은 해안을 그린 그림은스마트폰을 이용해 그린 그림이었습니다. “이렇게 멋진 드라마가 펼쳐지는데 윌리엄 터너가 깨지 않고 잠들 수 있었을까요?”호크니는 그림이 세상을 볼 수 있게 만들어 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세상의 모든 ...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천체들이 떠 있는 걸까요? 볼때마다 새롭고 궁금해요. 저는 망원경의 접안렌즈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대고 달을 촬영하는 것을 좋아해요. 제 사진을 보고 천체사진을 찍어달라고 부탁하시는 분들도 많아요. 그럴 때면 어깨가 으쓱해 저~기 달까지 올라갈 것 같아요. 성현 가족에게 이란?저와 ... ...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과잉 기대가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고, 청소년들은 가장 접하기 쉬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게임으로 이를 해소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정 교수팀은 해마다 과도하게 게임을 즐기는 학생들 가운데 50~60%는 자연스럽게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현상도 확인했다. 게임에 빠진 상태를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만든 신소재를 쓰면 성능이 크게 떨어져 스마트폰 같은 고사양 전자기기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점이었습니다.그 돌파구가 된 것이 2006년 12월 존 로저스 당시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한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