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폰"(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2024시민과학 프로젝트 올해는 어떤 특별 탐사가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올해로 12번째인 지구사랑탐사대에는 총 1307팀, 4038명이 모였어요. 탐사대원들은 스마트폰에 설치한 팝콘플래닛 앱을 이용해 자신이 사는 집 주변의 16개 생물종을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과학자들은 대원들이 남긴 데이터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지요. 올해는 16종 탐사 외에도 ‘도시 주변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나도 모르게 스며드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파란색 신발을 신은 여자’가 부자연스럽게 여겨질 수 있는 거죠. 온종일 스마트폰을 쓰는 우리가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는 것은 불가능해요. 그렇기에 더욱 예민하게 콘텐츠를 바라보고 이용하는 태도가 필요해요. 2018년 방송통신위원회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시간을 달리는 섭섭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붙기를 반 복하면서 스스로 복구된다고 설명했어요. 김진철 박사는 “자동차나 스마트폰 표면에 발라 유용 하게 쓸 수 있는 소재”라며 “소재의 특성상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 세계의 길잡이, 디지털 영상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영상지도는 항공 사진이나 인공위성 사진을 지도 형식으로 바꾸어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로 표현한 지도를 말해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구글 맵’이나 ‘카카오맵’ 등의 지도 앱이 디지털 영상지도에 속하지요.디지털 영상지도를 쓰면 세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이처럼 우리는 책을 만들기 위해 베어지는 나무보다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스마트폰 폐기물을 더 걱정해야 할지도 몰라요. 디지털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될까?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거대한 가상 서버에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구름)’라고 해요. 하지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화소, 알룰로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207만3600개, 즉 200만 개가 넘는 화소가 각자의 색깔을 내고 있다는 거죠. 여러분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를 확인해 화면에 화소가 모두 몇 개인지 살펴 보세요. 알룰로스는 단맛을 내는 탄수화물이에요. 무화과, 건포도, 밀 등 일부 식물에만 들어 있지요. 알룰로스는 설탕 단맛의 7 ... ...
- [날아간 김에 퍼즐여행] 1화. 운명의 불시착?!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이정표는 온통 읽을 수 없는 일본어로 가득했다. 라라올라는 주머니에서 주섬주섬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가까운 정비소를 찾지만, 모두 비슷하게 생긴 건물들에 당황하고 마는데….“히잌. 쉽지 않구먼!” 미션 3. 경비행기에 맞는 드라이버는? “엔진 경고등이 떴다고요?” 우여곡절 끝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불면증에 걸린 공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겁니다. 빛에 노출되면 잠드는 데 방해가 되니까요.”꿀록 탐정이 공주 옆에 놓인 스마트폰을 슬쩍 치우며 말했습니다. 그날 밤, 마음이 편해진 오로라 공주는 오랜만에 깊게 잠들었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새 학년, 새 학기 온라인에서도 함께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것도 좋아요. 디지털 미디어를 학습에 활용할 때도 예의범절은 기본입니다. 스마트폰은 교실에서 끄기, 공용 스마트기기는 학습에만 이용하기, 항상 로그아웃 철저히 하기 등 우리가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은 꼭 마음에 담아 두도록 해요. 디지털 세상에서도 새 학년을 위해 준비할 내용이 ...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잘 잡힌 메뉴를 고르게 됐달까요. CGM 측정 수치를 블루투스로 전송받아 보여주는 스마트폰 앱 파스타의 음식 자동 인식 기능도 유용했습니다. 카메라로 식단을 촬영하면 인공지능(AI)이 먹은 음식을 자동으로 파악해, 해당 음식의 열량과 당 함유율을 기록해줬습니다. 이런 기능 덕에 하루에 섭취한 ... ...
12345 다음